인천시가 낙후한 원도심 재생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인천시는 '도시 재창조, 활력 있는 인천'이라는 비전을 세우고 원도심 일대 921.74㎢에 대해 오는 6월까지 2030년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기존 44곳이던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은 60곳으로 새로 정비해 지역 고유 자원을 활용한 도시 브랜드를 만들고, 골목 상권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노후계획도시정비법 시행에 따라 조성 20년 이상, 면적 100만㎡ 이상인 노후지역인 연수, 구월, 계산택지와 갈산·부평·부개, 만수1·2·3 지역 등에 대한 노후계획도시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동안 인천은 송도·청라 등 신도시 개발과 확장으로 도시의 외형을 키웠는데, 신도시 중심의 개발은 원도심 사회기반시설의 상대적·절대적 낙후와 소외를 초래해 인천의 성장과 균형발전을 가로막았다. 이 때문에 인천시의 원도심 재생사업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

그런데 노후계획도시 정비법 입법 추진 당시에 지적된 바와 같이 과도한 특혜 등 여러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이 법으로 대상 지역 아파트들은 재건축 연한이 30년에서 20년으로 단축되어 대상 지역 외 아파트보다 파격적인 특혜를 받는다. 안전진단도 면제받고 용도지역 변경, 용적률 상향 등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원도심 개발과 도시균형발전은 표면상 명분일 뿐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변질할 우려가 크다.

이 같은 이유로 인천의 도시재생사업도 낙후한 원도심 재생사업은 뒷전으로 밀려나고 대규모 재건축 재개발에만 몰두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실제로 인천시가 이번에 인천의 대표적인 낙후지역이자 쪽방촌인 동구 만석동 괭이부리마을에 2026년까지 223억원을 들여 공공임대주택 50세대를 건립하고 공원과 주차장을 짓겠다고 했는데, 구색맞추기식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인천의 원도심 문제는 도시균형발전과 글로벌 도시로 성장을 저해하는 현안이다. 도시재생이 제대로 추진되려면 연수, 구월, 계산택지와 같은 대규모 아파트단지 재개발뿐만 아니라 중·동·미추홀구 원도심에 젊은 세대가 모일 수 있는 주거·교통·교육·문화·상업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인천시의 2030 도시재생전략계획의 중심에는 노후계획도시가 아니라 원도심이 놓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