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는 지난 2010년 수원 시흥시를 시작으로 안산, 안양, 의정부, 용인 등 모두 15개 지자체가 여성친화도시 지정을 받았다. 하지만 14년이 지난 현재 '타이틀'만 남아있고 성과는 '속 빈 강정' 그 자체다. 변변한 정책 개발 없이 보여주기식 운영으로 일관, 전시행정의 표본으로 전락하고 있어서다. 그러다 보니 도민들의 체감도 또한 낮다. 대중의 인지도에서도 '있는지 없는지' 존재마저 모를 정도다. 여성친화도시란 지역 정책과 발전 과정에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참여해 여성의 성장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이다. 거기엔 양성평등이라는 사회가치 구현도 포함되어있다.

우리 사회가 양성평등을 이루기 위해선 가야 할 길은 멀다. 아직도 우리 주변엔 남성 중심적인 사고가 여전한 데다, 이른바 여성이 다가가기 어려운 '유리천장'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 여성에 날을 맞아 발표된 한국의 유리천장지수를 보면 더욱 심각하다. 올해도 한국은 OECD 국가 중 12위로 꼴찌를 했다.

성별 임금 격차도 압도적 1위다. OECD 평균이 11.9%인데 한국은 무려 31.2%로 30% 넘는 임금 격차는 한국이 유일하다. 여성친화도시 지정 등을 통해 여성들이 모든 차별을 넘어 더 평등하고 안전한 세상을 만들겠다고 나선 성적표치곤 초라하고 부끄럽다.

가뜩이나 우리 사회의 여성지위는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여성 경력단절은 기본이고 선진국과 비교하면 성평등지수도 바닥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여성친화도시 제도시행은 그나마 다행이다. 지자체 만이라도 지역정책에 여성과 남성이 평등하게 참여하고, 여성의 역량강화, 돌봄 및 안전이 구현되도록 정책을 운영하는 것이어서다.

또 여성친화도시의 취지는 바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지방자치제도의 이상과 일치한다. 그런 만큼 예산 부족을 내세워 여성친화도시 사업을 미룬다는 것은 미련한 짓이나 다름없다. 경기도가 전국 최대의 지자체답게 여성친화도시 중장기 계획 수립, 여성친화도시 우수사업 발굴을 통해 모범을 보여야 한다. 아울러 여성 친화 영역을 세분화해서 더 넓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