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변경 수법 규제 대상 회피
매출 크게 올라 몸집 불리기 중
대형·준대규모 점포는 적자

교수 “대기업 대상 제도다보니
틈 노려 전략적으로 점차 확장”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식자재마트가 대형마트가 아니었나요?"

정부가 대형마트의무휴업 폐지하는 정책을 지난 1월 추진하고 나선가운데, 규제에서 제외된 대형마트 수준인 식자재 마트에 대한 형평성 논란이 또 다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에선 의무휴업 폐지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폐지가 불가하다면, 모든 매장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예로 경기도 내 대표적인 식자재마트 브랜드인 '마트킹'은 총 면적 약 2280㎡(서수원점)로 대형마트 범주를 간신히 넘기면서 의무휴업 규제 선상에서 벗어나 있다.

매출 규모도 2018년 310여 억원에서 2022년 430여 억원(구성점 기준)으로 매년 크게 늘면서 유통계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다.

국내 최대 식자재마트인 '세계로마트' 역시 3977억원(2020년도 기준)매출액을 달성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런데도 이들 식자재마트들은 하나의 밀집된 건물을 각각의 용도변경을 하는 수법으로 교묘히 대형마트 규제 대상에서 벗어나고 있다. 특히 마트킹은 경기도 내 11개 지점을 운영하면서 프랜차이즈형 체인 형태를 띠고 있음에도 의무휴업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대형마트·준대규모 점포들에서 매출 부진을 보인 반면 규제에서 벗어난 식자재마트는 매해 몸집을 불려가고 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2014년 27.8%던 대형마트의 매출 비중은 2023년 12.7%로 급감했다. 2019년 423개였던 점포도 2023년 401개로 22곳이 폐점됐다.

반면 국회가 한국유통학회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2021년 기준) 전국의 식자재마트 점포 수는 (2014~19년까지)74%까지 우후죽순 늘어났다. 전체 시장 규모만 약 9조7000억원에 이르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대형마트가 폐업한 자리를 식자재마트가 꿰차면서 규제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한 매형마트 관계자는 "법의 취지가 골목상권을 살리기위한 조치였으나 실제 상황은 대형 식자재 매장에서  골목상권을 모두 흡수해 버린다"며 "가격경쟁, 품질경쟁으로 상생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식자재마트의 경우 개인사업자로 등록되거나 규제 범위에 못미치는 형태로 생겨나면서 각각의 소상공인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기업을 대상으로 제도를 도입하다보니 식자재마트는 이 틈을 파고드는 전략으로 점차 확장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전통시장 활성화를 취지로 규제가 되고 있지만 실상 경쟁력있는 전통시장들이 생겨나고 있기때문에 의무휴업 규제 완화 또는 폐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혜림 기자 ham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