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내 항공MRO 정비단지인 첨단복합항공단지가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으로 신규 지정된 것은 인천은 물론 대한민국 물류 발전에 있어 의미 있는 전환점이다. 자유무역지역 신규 추가 지정은 항공MRO(항공기 정비·수리·분해조립)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이 글로벌 항공 물류의 중심지로 거듭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규 지정으로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은 397만899㎡로 확대됐고, 첨단복합항공단지에 투자하는 기업은 관세.부가세 면제 혜택을 받게 되며, 이는 첨단복합항공단지 내 신규 투자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신규 투자유치를 바탕으로 인천공항에 특화된 항공정비단지 모델을 개발해 지역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인천공항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겠다는 포부다. 인천공항을 세계적인 항공MRO 허브로 발전시켜 인천이 글로벌 항공 물류의 중심지로 거듭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이유다.

반면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지정은 지지부진하다. 인천지역 항만업계와 시민사회단체는 임대료 하락 효과와 함께 배후단지 공공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과 배후단지 등을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여러 차례 촉구했지만 아직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영향으로 인천항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70%를 차지하는 인천신항의 1-2 '컨' 터미널 운영사업자 3번째 공모도 유찰됐다.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지정이 계속 미뤄지면서 인천 물류 발전에 있어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공항 자유무역지역은 국토교통부가 신청하고, 관련 부처 협의를 거쳐 산업통상자원부가 승인하는 절차를 갖는다. 항만 자유무역지역은 해양수산부가 신청해야 한다. 중앙부처의 역량의 차이일까? 아니면 중앙부처 공공기관인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항만공사의 역량의 차이일까? 중앙부처와 공공기관의 역량의 차이를 따지기에 앞서 인천은 대한민국 물류의 중심축이자 중요성이 가장 큰 지역이다. 투자유치와 물류활성화를 위해 공항과 항만의 자유무역지역 지정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관계 기관이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