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병원의 전공의 사직률이 37%를 넘어섰다. 19일 현재 20개 병원 전공의 전체 2337명 가운데 884명이 사직서를 냈다. 파주 경기도의료원을 비롯해 공공병원 전공의들도 사직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경기도의 20일 조사를 보면 전체의 약 10%는 파업을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20일 831명에게 현장복귀 하라는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고 불응할 경우 면허정지와 고발까지 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탈 전공의가 오히려 더 늘어나고 있다.

파업의 정당성을 따지기 전에 응급실 마비와 긴급 수술 지연 사태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막아야 한다. 당장 지난 19일부터 서울아산병원과 세브란스병원 응급실은 환자를 받지 못했다. 모든 병원이 응급실 운영을 전공의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만큼 제 구실을 못 하는 응급실은 당분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각종 수술일정을 연기하는 병원도 급증하고 있다. 환자와 보호자는 애간장이 타들어 간다.

만약 이로 인한 사망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책임을 정부와 병원에 공동으로 물어야 한다. 의대 정원 2000명 확대를 발표할 때부터 예견된 일이므로 정부는 진즉에 만반의 대책을 세워 놓았어야 마땅하다. 면허취소 등 엄포만으로는 의사 파업을 막기 어렵다는 점을 정부가 몰랐을 리 없다. 병원 또한 전공의에게 지나치게 의존해온 관행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전공의들 역시 미래 의료서비스 질 저하 등 자신들이 내세운 사직 이유가 당장 경각에 달린 환자 목숨과 맞바꿀 일인지 자문해보기 바란다.

의과대학 학장들은 지난 19일 “의대 증원 규모는 350명이 적당하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런 블랙코미디가 없다. 정부가 의대생 증원규모를 조사할 때는 2150명 이상을 요청하더니, 이제 와서 납득하기 어려운 변명과 함께 말을 뒤집은 것이다. 의료현장과 의료정책의 불합리한 관행이 쌓인 이유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의대증원과 의사파업의 정당성은 계속 따져보되, 응급실 마비와 긴급 수술 지연만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