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주민등록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3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달 29일 오후 6시 기준 300만43명을 기록했다. 인천은 서울과 부산에 이어 세 번째 300만 도시가 됐다. 2016년 10월 민선 6기 유정복 시장이 선포했던 300만 도시 인천은 외국인을 포함한 수치여서 현재의 순수 내국인 통계와는 차이가 있었다. 다시 민선 8기 유 시장이 펼칠 300만 도시 인천 육성의 청사진 '인천의 꿈'이 '대한민국의 미래'가 되길 기대한다.

저출산·고령화 정책이 도시발전을 가늠하는 시대이다. 도시의 재정자립도는 인구규모에 따라 지원되는 지방교부세에서도 영향을 받는다. 풍족한 지방교부세를 받기 위해서는 많은 인구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또 인구증가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슈 중 하나이다. 인구는 노동력 확보, 경제성장, 재정 등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인천은 진출이민의 역사를 이어온 도시인 동시에 재외동포청을 유치하는 등 유입이민 정책을 활발히 전개할 수 있는 곳이다. 재외동포 750만명을 포함한 1000만 도시 인천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그러나 인구 동태는 신도심과 구도심, 내륙과 해안지역 등 지역별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다. 2020년 이후 인구가 증가한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서구, 연수구, 중구, 미추홀구 등으로 특히, 국제도시의 인구증가 현상이 뚜렷했다. 300만 인천이 양적인 성장에 그쳐서는 안 된다. 송도·청라·영종과 신도시 개발지역의 편중된 인구 집중에서 소외될 수 있는 원도심의 주거환경 개선과 문화예술 시설 확충 등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 지역별 편차가 심한 인구 증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도시 균형발전 정책이 지속해서 추진되길 바란다.

인구증가는 지역 경제를 촉진하고 지역주민의 소득을 향상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세수가 늘면 재정자립도가 오르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게 된다. 유 시장이 펼치는 제물포르네상스, 뉴홍콩시티 프로젝트 또한 원도심의 생활문화 인프라를 촉진하는 전략으로 활용돼야 할 것이다. 유입인구 증가뿐 아니라 근본적이고 안정적인 출산인구를 높일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