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별 소각장 건립 사업에 인천시가 '출구 전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소각장 건설을 각 지자체가 주도하라며 정책 방향을 틀었지만, 지역에선 순응하기 어렵다며 반발해서다. 쓰레기 직매립 금지까지 2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대안도 없이 공을 넘겨받은 일부 지자체는 당황할 수밖에 없다.

인천시는 4대 권역(동·서·남·북)으로 나눠 추진하던 광역소각장 조성 정책을 생활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군수·구청장이 주도하고 시는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4대 권역 중 현대화 절차를 진행하는 남부권(미추홀·연수·남동), 자체 입지선정위원회를 운영하는 북부권(강화·서)은 현재와 같이 광역소각장 설치 절차를 계속 밟는다. 문제는 동·서부권이다. 동부권(부평·계양)은 부천시와 함께 광역소각장을 지으려 했지만, 지난해 3월 계획 백지화 이후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서부권(중·동·옹진)도 지난해 6월 입지선정위를 통해 예비후보지 5곳을 정했지만, 후보지 모두 영종도로 알려지며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답보 상태다.

현 광역화 체계론 더 이상 소각장 정책에 진전이 없다고 판단한 시는 앞으로 '지원' 역할만 하겠다며 한 발 뺀 모양새다. 별다른 대안도 없어 해당 군·구의 반발은 뻔하다. 일부 기초단체에선 시의 계획은 권역별 합의를 이루지 못한 채 결국 '싸움'으로만 내모는 꼴이라며 반대한다. 소각장 확충은 인천 현안 중 하나인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관련된 사업이다. 그러다 보니, 시의 이런 결정의 여파가 매립지 정책까지 파장을 미칠지 주목되기도 한다.

시는 주민 반발과 몇몇 기초단체의 소극적 태도 등으로 소각장 확충 사업이 난관에 부딪쳤다고 하지만, 그 책임을 전가하는 한 오히려 '악화'를 부르게 된다. 소각장 건립을 촉진하기보다는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직매립 금지를 코 앞에 두고 자원순환센터 확충은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로, 시는 기초단체들을 강력하게 조율하는 역할을 계속해야 한다. 자원순환센터 설치는 단순한 쓰레기 처리 문제를 넘어 지역 발전과도 연관되는 중요한 과제다. 그만큼 기초단체장의 책임·협력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