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B·C(1기) 노선을 평택, 춘천, 동두천·아산까지 각각 연장하고, 2035년을 목표로 장기(김포)·인천공항·덕소(남양주)·교산(하남)이 기·종점인 D·E·F(2기) 노선을 추진한다.

올해 안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등 지상철의 지하화 선도사업도 지정한다.

국토교통부 박상우 장관은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향후 134조 원을 투자해 교통 분야의 3대 혁신(속도혁신·주거환경혁신·공간혁신)을 이뤄내겠다 “고 말했다.

134조 원 중 GTX에는 38조6000억 원, 지방 광역·도시철도에는 18조4000억 원, 철도·도로 지하화에는 65조2000억 원, 신도시 교통 개선에는 11조4000억 원을 투입된다.

▲ 지하 고속도로 사업 시행 전후 예시/국토교통부 제공

▲속도혁신=국토부는 윤석열 정부 임기 내에 A·B·C 기존 노선 연장 착공 공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연장 노선은 본선과 동시 개통한다.

A노선은 평택까지 연장한다. B노선은 춘천까지, C노선은 위로는 동두천, 아래로는 천안·아산까지 늘린다. 만약 지자체 부담으로 사업이 진행되면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이 필요 없어 사업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토부는 A노선과 C노선의 경우 지자체에서 ‘자체 부담을 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해 현재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자체와 협의 중인 B노선 또한 지자체 부담 시 바로 설계 착공에 진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핵심 사업인 2기 GTX사업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며 “D노선은 김포·인천에서 팔당·원주까지, E노선은 인천에서 남양주까지, F노선은 순환선으로 새롭게 신설을 하고 임기 내에 여비 타당성 통과를 목표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2기 GTX 노선(D·E·F)은 1, 2단계로 나눠 2035년까지 1단계 개통을 목표로 한다. 이들 노선 등은 내년 상반기 예정인 ‘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담을 계획이다.

D노선은 ‘더블 Y’ 노선으로, 각각 김포, 인천공항에서 출발한다. 해당 노선은 부천 대장에서 합쳐져 삼성까지 간다. 이후 교산(1단계)·팔당(2단계), 원주 등 Y노선으로 다시 나뉜다.

국토부는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인 ‘서부권 광역급행철도’(김포 장기~부천 종합운동장)와 추후 직결 운행한다고 밝혔다.

E노선은 인천공항에서 대장까지 D노선을 공용한 뒤 연신대·광운대를 거쳐 왕숙2·덕소까지 연결된다.

F노선은 의정부~부천~수원~교산·왕숙2 등 경기도를 한 바퀴 도는 순환선으로 가장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1단계 사업은 왕숙2·덕소·교산 등 경기 동부 일부만 포함됐다.

▲주거환경혁신·공간혁신=정부는 지상 철도를 지하에 새로 건설하고, 철도 부지와 인접 지역 등 상부 공간을 개발해 건설 비용을 충당할 계획이다.

오는 3월 전국을 대상으로 지하화 노선과 구간, 상부 개발 구상, 철도 네트워크 재구조화 등을 담은 종합계획 수립에 나선다. 도심 철도 지하망 구상과 지하 통합역사 마스터플랜은 오는 6월 발표한다.

고속도로의 만성적인 차량 정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고속도로를 지하화해 도로 용량을 확장한다. 수도권제1순환(서창-김포)·경부·경인 지하 고속도로는 후속 절차를 진행해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착공을 추진할 방침이다.

지하도로 건설로 생기는 상부 도로 일부 여유 공간을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공원이나 녹지 등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하거나 업무시설을 짓는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들여다본다.

또 안전한 지하도로 조성을 위해 침수, 화재 등에 대비한 지하도로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 올해 4월부터 시작해 2028년 12월까지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박 장관은 “주거 환경 혁신을 위해 광역교통대책 사업비를 조기에 투입하고, 사업 절차도 대폭 간소화하겠다”며 “편리하고 쾌적한 출·퇴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2층 전기버스를 비롯한 광역버스를 집중적으로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철도·도로 지하화를 통해 도시 공간을 재구조화하겠다”며 “지난 1월 국회를 통과한 철도지하화 특별법에 따라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선도지구를 선정해 신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다솜 기자 radasom@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