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필수시설 규모 평균 이하
산부인과·소아과 의사도 부족
지원금 포함 '투트랙 전략' 필요
▲ 1일 남동구 가천대길병원에서 태어난 '1억+ i dream' 첫 수혜 신생아. /사진제공=인천시
▲ 1일 남동구 가천대길병원에서 태어난 '1억+ i dream' 첫 수혜 신생아. /사진제공=인천시

인천시가 지난해 말 인천형 출생 정책인 '1억 플러스 아이드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여야 정치권도 앞다퉈 강화된 저출생 대책을 내놓는 상황에서 올해 '출생·육아 인프라 확충'이 숙제로 떠올랐다.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 여기서 일하는 전문의, 국·공립어린이집 등 아이를 낳고 키울 때 필수인 시설들의 규모가 평균 이하인 인천이라, 앞으로 현금 지원 정책 효과를 얻으려면 '지원금'과 '인프라 확대' 투트랙 전략을 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올해 지역 내 국공립어린이집을 41곳 더 늘리는 계획을 세웠다.

현 인천지역 국·공립어린이집 340곳을, 민선8기를 마무리하는 2026년에 456곳까지 증가시키겠다는 목표다. 지난해 말 기준 인천지역 어린이집 원아 중 25.0%만 국·공립에 속해 있다. 이와 달리 서울 국·공립 비율은 51.5%, 부산 29.5%, 대구 29.9%, 세종 39.7% 등이다.

인천시는 “지역 내 보육수요를 고려해 균형 있게 국·공립어린이집을 확충하겠다”는 설명이다.

인천 10개 군·구 어린이집 원아 가운데 국·공립 비율이 인천 평균(25.0%)보다 아래인 지역은 계양구(17.7%), 미추홀구(19.4%), 부평구(21.5%), 남동구(21.9%), 서구(23.2%) 정도다.

당장 2024년부터 아이들이 18세 될 때까지 1억원을 지원하기로 한 인천시가 손봐야 할 부분은 어린이집뿐만이 아니다.

저출생 문제에서 처음 맞닥뜨리는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부터 녹록지 않은 현실이다.

인천지역 산부인과 전문의는 2022년 상반기 280명으로 부산 467명, 대구 330명보다 적다. 지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311명에 불과한 데 반해 부산은 437명, 대구 352명이다.

2020년 기준 인천 출생아 수가 1만6040명으로 부산(1만5058명)보다 많은 걸 감안하면 인천 출산, 육아 인프라가 수도권 밖 경쟁 도시들보다 훨씬 빈약하다는 의미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