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는 해양과 관련한 대학이 아직 없다. 서해안 거점도시이자 부산에 이어 두 번째로 해양 연관 산업이 큰 곳인데도 유독 차별을 받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는다. 인천시는 이들 대학 설립에 나서기도 했지만, 여러 이유로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이에 민선8기 유정복 시장은 취임과 더불어 해양대·해양수산대 유치를 약속하기도 했다.

해양대·해양수산대를 끌어들이는 데 실패한 인천시가 이번에는 그의 추진과 함께 지역 대학과 연계한 해양 산업·인력 개발 등 두가지 전략을 세워 관심을 모은다. 시는 인천에 해양대·해양수산대 유치를 위해 정부를 설득하는 한편 타당성 등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바다와 하늘을 잇는 신물류 산업이 자리를 잡으며, 해양 관련 인력 양성과 전문 연구 등의 절실함이 꾸준히 제기되는 터에 꼭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시는 지난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수도권 국립해양대 설립 타당성 조사'를 요청한 데 이어 강화군 내 해양대 설립을 위한 방안을 찾았지만, 현실법의 벽을 넘지 못했다. 여기에 타 지역 견제까지 더해지며 인천의 해양대·해양수산대 꿈은 날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해양대 설립을 검토한 강화지역의 경우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성장관리구역이라 학교 신·증설이 제한돼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시는 인천대·인하대와 관련 대학 설립 가능성을 찾으면서 청운대와 인원 조정 등을 통해 연관 학과 신설을 검토했다. 올해부터 대학별 학과 신설 자율권이 확보되는 만큼 지역 대학에서 해양 분야 단과대 설립이 좀더 수월해졌기 때문이다.

국내에는 현재 부경대 등 5개 수산대(어선 해기사 양성 대학을 통칭함)와 목포해양대·한국해양대 등 2개 해양대가 존재한다. 인천시와 한국해양대는 지난 2010년 수도권 해양·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인천에 제2캠퍼스 설립 계획을 세우기도 했지만, 역시 불발로 그치기도 했다. 그 때보다도 우리나라 해양·물류 전문인력은 점점 더 요긴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의 해양대학 설립 요구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인천시는 해양대·해양수산대 유치는 계속 추진하되, 일단 지역 대학과 연계해 해양 관련 단과대 설립에 나서는 일에도 고삐를 죄라고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