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인천기업 EU 수출액 규모 43억여달러…2021년比 16%↑
EU, 2026년 디지털제품여권 등 정책 도입…정부 지원책 필요성

EU(유럽연합)의 탄소중립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면서 인천 수출기업의 생존전략 마련도 과제로 떠오른다. 디지털제품여권(DPP) 도입 같은 굵직한 현안이 다가오는 만큼 인프라 구축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17일 한국무역협회와 인천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인천기업들의 EU수출액 규모는 43억9600만달러다. 이는 지난 2021년 37억8800만달러 대비 16.1%가 오른 규모다. 지난 5년간을 놓고 비교해도 가장 큰 수출액이다.

이처럼 인천 기업들의 EU수출은 매년 변동 폭은 발생했지만 ▲2019년 34억2200만달러 ▲2020년 37억2200만달러 ▲2021년 33억3100만달러 등을 기록했다. 평균 37억3100만달러 규모다.

문제는 EU가 순환 경제 구축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각종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낸다는 점이다.

EU가 2026년부터 의무화하겠다고 밝힌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는 EU에 수출하려는 기업은 물론 공급망 전 과정의 이해관계자가 원료 추출부터 제조, 재활용 등 전 정보를 DPP에 등록하고, 공유받게 된다. 전세계 공급망이 추적성을 갖고, 디지털 기록매체에 의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게 핵심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EU DPP가 기업의 ESG 이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탄소국경제도(CBAM)와도 맞물리며 기업들은 계속해서 탄소배출량 측정과 감축 노력을 요구받는다는 관측이다.

결국 DPP제도에 적응하지 못하면, EU시장 진출에 제한이 생기는 건데 이는 수출기업 당사자뿐 아니라 이 제품의 가치사슬에 관여한 모든 기업도 해당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인천 중소기업들은 기계와 컴퓨터 부품 등을 주로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탄소중립 관련 정책들에 특별한 대응 계획이 없는 곳이 많은 상황이다.

현재 시는 EU의 속도를 내는 ESG 법안 중 공급망 실사 도입 의무화 부문에서 지역 수출기업을 돕기 위해 금융기관과 협약을 맺고 종합 컨설팅을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중소기업경영지원센터 역시 탄소중립 등 각종 현안 관련 컨트롤타워 역할을 예고하고 나섰는데, 정부 차원의 대책도 요구된다.

박가현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EU 디지털 제품 여권(DPP) 추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공급망 정보의 수집, 저장, 관리 등 DPP 관련 대응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DPP 대응지원책을 마련도 필요하다“라며 “기업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EU의 기업,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논의 중인 DPP 세부 규제요건 등 추진 동향에 대해 면밀한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해윤 기자 yu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