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숙희 인천부평구의회 행정복지위원장.
▲ 김숙희 부평구의회 행정복지위원장

부평이 법정문화도시에 선정된 지 올해로 4년차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시민이 공감하고 즐기는 도시문화의 고유성과 창조력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사회성장구조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체계를 갖춘 법정 지정도시”를 문화도시로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칭 '문화도시 부평'은 어디까지 왔을까?

지난 2023년 부평구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문화도시 사업은 '뜨거운 감자'였다. 2021년부터 매년 30억원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는 “문화도시 부평” 사업에 많은 의원의 질타가 쏟아져 나왔다. 주된 지적사항은 ▲구민에게 체감되지 않는 문화도시 ▲계약지침에 맞지 않는 업체 선정방식 ▲부평의 정체성과 동떨어진 사업주체 선정 ▲예산대비 미진한 사업성과 등이었다. 같은 시기에 문화도시에 선정된 다른 지자체의 문화도시 성과를 비교해보자면 우리 구의 사업체계나 성과 등이 뼈아프게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필자는 지난해 '주민친화적 출연기관'을 주제로 의원연구단체를 운영하며,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 중인 춘천을 방문했다. 가장 주목했던 것은 같은 시기에 선정된 지자체 중 전국 최우수 문화도시 모델로 우뚝 선 춘천이 우리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였다. 그리고 춘천의 문화도시 추진과정 사례를 살펴보며 적잖이 신선한 충격을 받게 되었다.

필자뿐만 아니라 동행했던 의원들은 “춘천의 문화도시 사업체계에선 지역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었다”고 탄식했다.

춘천은 문화예술을 일방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지역거점을 구축하고, 지역주민들과 함께 호흡하고 있었다. 적어도 춘천의 문화도시 사업은 '지역주민'이 문화예술의 향유자이자 생산자로 함께 서 있었다. 춘천 시찰을 통해 춘천이 법정문화도시 사업의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된 이유와 지역주민을 문화예술의 주체로 세운 춘천문화재단의 역할을 알게 됐다.

우리 부평도 구민이 중심이 되는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아직까지 우리 구민에게 '문화도시'는 체감되지 않는 소위 '그들만의 리그'처럼 인식되고 있다. 부평의 정체성과 실정에 맞게 '문화도시'가 적합하게 설계되어 운영되는지 근본적인 의구심이 든다. 우리 문화도시 사업에서의 대형 공연 등은 지금과 같은 예산지원만 이뤄지면 언제든 누구나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이다. 우리구만의 무엇이 아직은 부족하다. 반성해보자. 구민 한명 한명이 문화예술의 생산자이자 향유자가 되는 길은 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 없이는 추진될 수 없다. 지금까지의 '부평 문화도시'에는 시민의 공감도, 부평의 고유성과 창조력도, 그리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체계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도 턱없이 부족하다.

4년차에 접어든 '부평 문화도시' 사업은 진지한 성찰과 여기서 비롯된 분발이 필요하다.

/김숙희 부평구의회 행정복지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