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일대 연이은 北 도발
정보 전달 과정 늦어져 혼선
주민·지자체 대응에도 한계
시, 안보상황 신속 공유 요청
▲ 지난 5일 오전 북한군이 서해 해상 완충구역에 해안포 200여발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인천 연평도 주민들이 대피소에 모여 있다. /사진제공=독자
▲ 지난 5일 오전 북한군이 서해 해상 완충구역에 해안포 200여발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인천 연평도 주민들이 대피소에 모여 있다. /사진제공=독자

서해 5도를 품고 있는 인천시와 군이 안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연평도 일대 포격 도발에 이어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시험 발사까지 북한이 연일 도발 수위를 높이면서 긴장 관계가 계속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군 연평도 포격과 같은 비상시 국방부에서 행안부 거쳐 각 시·도에 정보들이 전달된다. 하지만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이 느리다 보니 지자체가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 5일 북의 연평도 일대 포격 도발 당시 인천시와 옹진군에 상황 공유가 늦어지면서 '민·관·군' 정보 공유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당시 합동참모본부는 오전 9시쯤 북한군이 백령도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200여발 이상의 사격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옹진군이 밝힌 조치사항은 오전 11시18분부터 북 해안포 사격에 따른 문자·방송 준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서는 북한과 인천 서해5북 도서가 인접한 만큼 군과 안보 상황에 대해서 적극적인 공유를 바라고 있다.

백령 주민 심효신(61)씨는 “최근 북 도발 당시 우리 군의 해상훈련을 한다고 주민들에게 안내 문자를 했는데, 언론에는 대응 사격이라고 나왔다. 처음부터 대응 사격이라고 주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려줬으면 대피를 신속하게 했을 것”이라며 “군과 지자체가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받아 주민들과 소통하는 체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속해서 행안부와 지역 군부대에 비상시 안보 상황에 대한 정보 공유를 빠르게 해줄 것으로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용범위 내에서 정보를 같이 공유하고, 종합방비 태세를 갖추자는 요청을 꾸준히 하고 있지만 군 정보가 보안을 가진다는 특성 때문에 쉽지만은 않다.

신현기 인천시 안보특보는 “지역 내 군부대를 방문할 때마다 가급적 실시간 정보를 시에 알려달라고 건의를 하는 상태”라며 “종합방비 태세를 확립하는 차원에서 실무적인 협의나 이런 것을 요청했지만 이에 대한 답변은 아직”이라고 말했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