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부문 여성 관리자 비율이 하향 조정된 것으로 본보 취재 결과 드러났다. 김동연 지사가 당초 약속한 목표 비율 40%를 30~35% 정도로 낮춘 것이다. 거기에 후보 시절 공약한 여성가족국 개편 작업도 지지부진하다. 이런 틈을 타 기존에 운영되던 성평등 기금 117억원마저 슬그머니 없앤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때문에 당초 기대했던 김동연표 여성의 사회적 참여 확대가 구호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공공부문 여성 관리자는 도청의 경우 5급 이상, 공공기관의 경우 팀장급 이상을 각각 의미한다. 경기도청에는 이런 여성 관리자 비율이 2022년 26.2%였다. 김지사는 취임 이후 이 같은 비율을 4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그러나 실제 민선 8기 공약실천 계획서를 살펴본 결과 도청은 30%로, 공공기관은 35%로 하향 수정됐다.

도청의 경우 2023년 26.8%, 2024년 27.7%, 2025년 29%, 2026년 6월 말까지 30%로 상향하겠다고 명시했고 공공기관 역시 2024년 34.5%, 2025년 34.75%, 2026년 35%로 올리겠다고 했다. 이는 기존 비율 34.25%에서 고작 0.75% 오르는 수치다. 도는 이런 조정에 대해 제반적인 사항 등 현실을 고려한 불가피한 사정이라는 애매한 이유를 대고 있다.

변명치곤 궁색하기 그지없다. 우리나라 유리천장지수가 날로 심각해지고 현실을 고려하면 지탄받아 마땅하다. 한국은 25점으로 만년 꼴찌를 벗지 못하고 있다, 1위인 스웨덴의 82.6점과는 3배 이상의 지수 차이가 난다. 이를 증명하듯 2020년 기준 한국의 고위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8.5%로, OECD 평균 37.1%에 한참 못 미친다.

전문성에 비추어 공공부문에서 여성의 참여율과 의사결정 권한을 증가시키는 것은 성평등을 위해 가장 절실한 정책 과제다. 그런데도 경기도가 비율을 축소하고 전문부서 개편을 미루는 것은 지방 분권을 준비하는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다. 여성의 핵심 보직이나 간부급 기용이 더 확대될 수 있도록 정책 재검토에 나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