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 2050년 빙하량 예측
지구 평균보다 10% 웃돌아
뉴욕 등 5개 주요도시 중 최고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한 2050년 5개 해안 도시별 해수면 변화. /자료=극지연구소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한 2050년 5개 해안 도시별 해수면 변화. /자료=극지연구소

극지 빙하가 녹으면서 2050년이면 지구 해수면이 지금보다 약 3.6㎝ 오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은 해수면이 4㎝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됐는데, 이는 지구 평균을 10% 웃돌고 뉴욕·시드니 등 5개 주요 해안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극지연구소는 이원상 박사 연구팀이 1992년 이후 인공위성으로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량을 관측한 결과 이와 같은 해수면 변화가 예측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선 지난 30년간 꾸준히 줄어든 빙하가 대부분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수면을 높였다고 분석됐다. 연구팀은 빙하 감소 양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통계 기법을 적용해 빙하 손실량을 계산했다. 국내 연구진이 극지방 빙하 감소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적으로 정밀 예측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빙하 손실량 추세를 고려하면 2050년 지구 해수면은 평균 3.6㎝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그린란드 빙하가 남극의 1.5배 수준이었다.

특히 빙하가 줄면서 남극과 그린란드 주변은 만유인력 감소로 해수면이 오히려 하강하고, 먼바다에선 반작용으로 평균보다 해수면 상승 폭이 클 것으로 연구진은 내다봤다. 인천은 이런 과잉 상승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구진이 2050년 해수면 변화를 분석해보니 인천은 4㎝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3.9㎝)·시드니(3.5㎝)·뉴욕(2.9㎝)·런던(1.7㎝)을 포함한 5개 주요 해안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해수면 상승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병훈 극지연구소 연수연구원은 “극지방 빙하 손실만을 고려해 예측한 최소한의 해수면 상승치”라고 설명했다.

남극과 그린란드에는 지구 해수면을 65㎝ 높일 만큼의 빙하가 쌓여 있고, 최근 빙하 손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후위기에 대응해 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억제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더욱 심각한 해수면 상승에 직면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장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와 저위도 연안 국가들은 극지 빙하가 녹으면서 나타나는 해수면 상승 피해의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며 “해수면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