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산성 보존·복원을 위해 국가 사적 승격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우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려면 국비를 확보해야 해서다. 인천시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된 문학산성은 백제 시대에 지어진 성곽으로, 국가 지정 사적으로서도 손색이 없다.

인천시는 이미 2020년 말 '문학산성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을 마치고 그 보존과 복원을 위한 청사진 마련에 돌입했다. 인천을 대표하는 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정비하려고 그동안 연구·조사와 함께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반영했다. 용역 결과 산성을 일괄적으로 복원하기보다는 구간별 성곽 현황·특성에 따라 성벽 유지·관리, 잔존 성벽 보존·복원 등의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문제는 비용이다. 시는 문학산성 보존·복원에 150억여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 성벽 전체 길이(637.7m) 중 현재 남은 구간은 240.4m로 이 가운데 65%는 미추홀구에, 35%는 연수구에 위치한다. 문학산성이 문화재로 지정된 1986년에는 소재지가 남구였지만, 1995년 남구가 미추홀구와 연수구로 나뉘면서 2개 지자체를 포함한다. 문화재보호법 상 문화재가 2개 이상 지자체에 걸쳐 있으면 광역단체인 시가 관리 주체일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는 미추홀구에서 시와 비용을 분담해 매장 문화재 지표와 시굴 조사 등을 수행해왔다. 시는 미추홀·연수구와 잔존 성벽 보존과 복원·정비를 공동 시행하는 방안을 놓고 협의 중이다. 하지만 정작 미추홀·연수구의 속내는 타들어 간다. 가뜩이나 재정 여건이 열악한데, 보존·복원 비용을 분담하는 게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선 문학산성을 국가 사적으로 승격시켜 국비를 확보하는 방식을 채택해야 맞다. 문화재가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면 보존·복원 사업에 대해 최대 70%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대표적 사례로 진행 중인 계양산성 복원·정비 사업을 들 수 있다. 지난 2020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국비를 확보하면서 활발하게 이뤄진다. 문학산성은 백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인천 역사의 발상지인 만큼, 국가 사적으로 지정해도 무방하다. 그렇게 해서 일부 무너져 내린 문학산성을 하루빨리 복원·정비하는 등의 사업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