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개항(1883년 1월1일) 140년을 맞은 인천항은 그동안 갑문을 설치한 내항을 중심으로 남항·북항·신항 등으로 확장하며 국내 주요 무역항으로 성장했다. 인천항 역사의 출발점이었던 내항은 현재 1·8부두를 대상으로 재개발 사업에 돌입해 새로운 탄생을 눈앞에 두고 있다. 여기에 민선 8기 인천시는 내항 1·8부두와 배후 지역을 해양·문화·관광 거점으로 조성하는 '제물포 르네상스'를 주요 공약사업으로 내걸었다. 이처럼 새로운 전기를 맞은 인천 내항이 미래지향적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우선 노후하고 쇠퇴한 인천 내항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친수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분석을 낳는다. 인천연구원이 2023년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결과 이런 제안을 내놓았다. 보고서엔 인천 내항을 바탕으로 소월미도와 연안부두 대상 수변공간의 역사·문화 등 고유의 가치를 도출해 창의적 친수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우선 부두는 개방적 공간으로 활용하고, 수공간과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부두는 문화중심, 2·3부두는 공공·상업·업무, 4·5부두는 신산업 중심 친수공간, 6부두는 여가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여기에 갑문은 내항의 상징으로서 관광과 교육 중심의 해양항만체험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향후 추진 과정에서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인천항은 국가보안시설인 데다 고도제한 완화 등도 해결해야 할 난제다. 인천시는 내항 1·8부두는 물론 주변 등 원도심까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문화·관광·산업을 융합한 '제물포 르네상스'를 추진하지만, 현재 인천항은 국가정보원 관리·감독 국가보안시설 '가급'으로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아울러 인천항 주변은 고도제한 구역이어서 8층 높이에 25m 이상 건물은 지을 수 없다.

인천 내항을 해양도시 인천을 대표하는 상징적 친수공간으로 만들자는 데엔 이견이 없다. 단 내항을 재개발하려면 보안구역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먼저 보안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해아 한다. 그런 다음 인천시를 비롯해 해수부·시민·전문가·민간기업 등과 소통해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해도 늦지 않다. 보안구역 해제와 고도제한 완화 등이 급선무인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