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범시민대책위가 13일 서울 국방부 청사 앞에서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정부가 지난 2014년 반환 공여지를 국가 주도로 개발하겠다고 약속했으나 10년째 진전이 없기 때문이다. 그 사이 동두천 인구는 9만 명 선이 무너졌고, 도시 여건은 거듭 뒷걸음질하고 있다. 시민들의 위기감과 절박함이 십분 이해된다. 국가가 국민에게 한 약속은 정권이 바뀌고, 정세가 변해도 지켜야 마땅하다. 부득이 이행하지 못하게 된 경우 납득할 수 있게 설명하고 향후 대책을 제시하는 게 도리다.

동두천대책위의 요구사항은 크게 네 가지다. 첫째, 캠프 케이시와 캠프 호비의 즉각적인 반환, 둘째, 평택과 같은 동두천특별법 제정, 셋째, 동두천국가산업단지의 국가 주도 개발, 넷째, 경기북부 의료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의과대학 설립이다.

기지 반환의 경우 당초 캠프 케이시와 캠프 호빗은 2016년까지 반환될 것이라고 발표되었었다. 하지만 차일피일 미루더니 현재도 미군이 남아 있다. 미군 측 사정 때문에 반환이 미뤄지는 것이라면 명확히 이유를 밝히고 반환 일정을 다시 확정하는 게 맞다. 정부가 무슨 노력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 시민들에게 분명히 설명해야 한다. 안보논리로 얼버무릴 일이 아니다.

평택은 미군기지(USAG 험프리스) 확장이 다급해서인지 특별법을 제정해 지원했다. 반면 동두천은 시 면적의 절반 이상이 공여지였고, 현재도 42%나 차지하고 있지만, 특별법이 여전히 제정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누가 봐도 형평에 어긋난다. 시민들의 요구를 더는 외면해선 안 된다. 국가산업단지도 번드르르한 청사진만 사탕발림처럼 제시할 게 아니라 약속대로 정부가 주도적으로 개발에 나서야 한다. 의료기관 확충 역시 동두천시민들이 절박하게 바라는 바다. 동두천대책위는 이를 의과대학 설립 요구로 정리했다.

도시가 지속할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도 희망이 필요하다. 동두천시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 정부가 10년 전 약속을 지키면 된다. 내년 연말에도 동두천시민들이 다시 피켓을 꺼내 들고 추운 거리로 나서는 일이 없기를 진심으로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