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로 인천 자존심 보여줘야죠”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첫 주인공
아트플랫폼서 '부유 현실 기록'展
'인간 실존' 초점…관람객에 물음
“예술인 창작 욕구 일으켰으면”
▲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 오원배 작가의 개인전 '부유/현실/기록'이 오는 7일부터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열리는 가운데 오원배 작가가 작품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바다 특유의 짠내를 맡으며 해질녘까지 동네 수 바퀴를 돌았던 개구쟁이. 학창시절 재능을 알아본 스승의 권유로 미술계에 발을 들인다. 정든 고향 인천을 떠나 국내에서는 후학양성에 매진했고, 늘 새로움을 추구하며 도전정신을 불태우는 그의 작품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 오원배 작가의 개인전 '부유/현실/기록'이 오는 7일부터 내년 3월3일까지 인천아트플랫폼 전시장1(B)에서 열린다.

인천문화재단이 올해 처음으로 시작한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의 첫 주인공으로 나선 오 작가는 무거운 책임감을 안고 전시를 준비해왔다고 말한다.

오 작가는 “지난 5월 최종 선정 발표가 나고 이번 전시를 위해 작업을 시작했다. 아카이브 공간을 제외한 모든 작품은 2023년 신작으로 구성했다”면서 “감사하게도 제가 처음으로 올해의 작가로 선정됐다. 미술의 현재를 가늠하고 미래 방향성을 찾는 취지로 제도가 마련됐다고 여기며 최선을 다했다. 인천의 자존심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인간 실존' 문제에 초점을 맞춰 작품을 지속해 온 그는 이번 전시에서도 다양한 작품을 통해 관람객이 사유하고 물음을 던질 수 있는 장치를 곳곳에 심었다.

캔버스가 아닌 천에 그려진 대형 작품들은 천의 투박하고 거친 질감과 어우러져 내용의 강함을 극대화한다.

“서울 광화문광장에 가보면 200m도 안 되는 거리에 수많은 사람이 각자 다른 주장을 펴며 대립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때로는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는 듯하죠. '과연 어떤 게 진실일까?' '정의의 여신 디케는 누구의 편을 들어줄까?' 묻는 거죠.”

“요즘 산업현장에서 사람을 대신해 AI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잖아요. 생산성을 제고한다는 효과도 있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있죠. 이 흐름이 좋다고만 볼 수 있는지 관객들과 사회에 질문하는 거예요. 대부분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변은 돌아오지 않아요. 답이 없는 물음은 공허하죠. 그 공허함에 대한 표현이기도 합니다.”

그의 작품 제목은 모두 '무제'다. 현실 속 수많은 존재와 얽혀진 관계, 이를 예술적 사유를 통해 기록하는 과정들은 결코 한 단어나 문장으로 나타낼 수 없다는 작가의 태도에서 비롯됐다.

오원배 작가는 “인간의 근원적 가치와 방향에 대해 질문을 하고 싶다.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과 깊이 소통하고 싶다”며 “인천 예술인들에게도 창작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전시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글·사진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



관련기사
[문화 인터뷰]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 함태영 운영팀장 우리나라 유일의 공공 종합 문학관이 인천에 있다. 인천 중구 개항장 창고 건물을 리모델링해 2013년 만든 한국근대문학관이 그것이다.1890∼1948년 사이의 문학자료를 총망라하며 당시의 시대상과 문화운동의 정수를 보여주는 이 문학관이 개관 10주년이 됐다.10년간 문학관을 운영한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은 하나의 고민이 있었다. 문학관이 대한민국 전체의 국가적 자료를 소개하고 있긴 하지만, 개항도시인 인천에 위치하며 인천시민의 세금을 들여 운영하는 이곳에서 인천의 근대문학을 집중 조명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다.개관 당시부터 한국근대문 [문화 인터뷰] 이종원 인천 서구문화재단 대표 2018년 출범한 인천서구문화재단은 참신하고도 지역에 필요한 문화예술사업을 펼친 덕에 신생 기관인데도 2년 내내 경영평가 A등급을 받았다. 초대 대표의 임기가 끝난 후 새 대표를 선임하지 못한 재단이 공석으로 대표 자리를 비워둔 이후 2년 동안 이 등급이 B에서 C로 급격히 추락했다.대표가 부재한 사이 문화재단이 전진해야 할 방향성을 잃고 관리가 안 되는 건 삽시간의 일이었다. 짧은 기간 흥망을 차례로 겪고 있는 서구문화재단에 이종원(사진) 대표가 다시 왔다. 취임 1년을 맞아 만난 그는 예전의 단단했던 반석 위에 재단을 다시금 올 [문화 인터뷰] 최현준 미림극장 대표 영화가 낭만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들뜬 마음으로 극장을 찾아 상영시간을 확인하고, 영화를 보기 위한 몇 시간의 기다림쯤은 마다치 않았던 그때. 영화가 유일한 문화생활이었던 1957년 인천 동구 송현동에 천막극장인 '미림극장'이 세워졌다.50년 가까이 지역의 대표 영화관으로 그 자리를 지켰지만,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홍수 속에서 살아남기란 쉽지 않았다. 결국 2004년 폐관을 결정하고 시민들과의 작별을 고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미림을 그리워하는 시민들의 마음은 더욱 커졌다. 시민들의 열망과 시민사회, 영화계의 도움으 [문화 인터뷰] 대한민국 1호 국악평론가 윤중강 우리나라 1호 국악평론가 윤중강은 인천 중구 경동에서 3대째 터를 잡고 살아온 인천토박이다. 경동사거리에서 배다리까지, 율목공원에서 자유공원까지 원도심 곳곳을 내 앞마당 삼아 누비며 '싸리재 키즈'로 성장해왔다.대학에서 가야금을 전공하고 이제는 명실상부 최고의 국악평론가로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그가 나고 자란 인천과 관련한 첫 번째 책을 펴냈다.지역의 국악과 무용의 역사를 담은 <인천 가무악희>는 우리가 모르는, 하지만 우리가 알아야 할 인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오래전 한 신문사 특집기사에서 지방문화를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