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경계 허물기 공통 인식
서울과 수평적 관계 전략 강조
생활·경제권역 확장 등 필요성
인천시청 청사 전경. /사진제공=인천시
인천시청 청사 전경. /사진제공=인천시

'메가 시티'가 내년 총선을 5개월 앞두고 수도권을 강타한 최대 이슈로 떠올랐지만, 선뜻 환영할 수만은 없다. 수도권의 정치·경제·사회적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를 허물어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 때문이다.

인천일보는 기획 <메가 시티 1편> “'베드벨트' 연결된 인천·경기, 생활권도 하나로”, <메가 시티 2편> “성공한 협치 실패한 정치, 경계 허무는 경제 공동체”를 통해 행정보다는 생활과 경계로 '메가 시티'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가 시티 3편>은 '삶'으로의 메가 시티를 정의한다.

인천시는 26일 “낡은 메가 시티 전략이 아닌 수도권이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민선8기 시작과 함께 발표된 서부 수도권연합 정책을 능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가 시티'는 뒤엉킨 용어 선택으로 정책 혼선을 불러왔다.

UN이 인식하는 메가 시티를 국가 주요 정책으로 세운 일본과 중국, 미국,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등은 국제항구와 국제공항 등을 메가 시티의 핵심으로 여긴다. 이들 국가의 메가 시티는 행정구역으로 묶이지 않고, 조세·지방자치 정책을 공동 발의하고 환경·교통·물류·주택 등 지역 현안 계획을 세우고 있다.

수도권은 이미 메가 시티로 UN이 분류한다. '인천'에 국제항·공항이 위치해 수도권 블록경제로 인식된다.

생활권은 교통으로 엮이며 서울의 베드벨트화됐다지만 이로 인해 탈서울 현상은 심각한 수준이다. 경제권은 물류를 바탕으로 인천과 경기에서 빠르게 단일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경기연구원 등은 서울과의 수평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 '메가 시티' 전략을 강조한다.

시 관계자는 “유 시장이 최근 서울-김포 통합에 비판한 것은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접근해야 할 메가 시티 전략을 너무 쉽게 하려는 것에 행정적 반발심이 컸기 때문”이라며 “인천형 메가 시티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는 만큼 올해 안에 유 시장이 직접 해묵은 30년 된 행정구역 개편과 시민 삶을 위한 생활·경제권역 확장 등이 담긴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3) 관문 넘어 수도권 중심…생활권 잇는 전략 세운다 (끝)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2) 성공한 협치 실패한 정치…끝 모르는 평행선 수도권 3자 협의 테이블에 앉았던 인천·서울·경기 지지체장들이 '협치'에는 성공했지만 '정치'는 실패했다.수도권 행정 현안의 실마리는 풀었지만 여당의 총선용 승부수 '경기 김포 서울 편입' 정치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골은 더 깊어졌기 때문이다.1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수도권 3개 시·도 단체장은 지난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3자 협의를 진행했다.세 단체장은 교통과 쓰레기 매립지 등 행정적 이슈에선 그간 막혀 있던 논의의 혈을 뚫으며 협치에 성공했다.특히 인천·서울시장은 3자 협의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2) 경계 허무는 경제 공동체…산단 벨트 거대화 “정치쇼”, “사기극”이라 맹비난받는 서울 편입론을 국민의힘이 내년 4월 총선까지 이슈화할 각오로 밀어붙이는 와중에도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 3자 간 대화 채널은 점차 매무새를 갖추고 있다.지난 16일 유정복 인천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오세훈 서울시장은 다섯 번째 회동을 통해 수도권 대체 매립지 재공모에 뜻을 모으고, 아라뱃길 활성화를 함께 도모하고, 9호선을 공항철도에 잇기로 하는 등 공동 생활권으로 묶인 수도권의 발전을 위한 약속들을 쏟아냈다. 다음 만남 일정도 반년 후, 석 달 후 이러던 게 “당장 다음 달이나 그다음 달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1) 중앙 구심력엔 '쩔쩔'…지역 연계는 '흐지부지' 인천은 서쪽으로는 바다, 북쪽으로는 김포와 서울 일부, 동쪽으로는 부천, 남쪽으로는 시흥과 맞닿아 있다.과거에 경기지역과의 경계에는 논과 밭, 산, 갯벌이 주를 이뤘는데 최근 들어 가속화된 도시 외곽 팽창으로 검단신도시, 삼산지구, 소래논현지구, 서창지구, 송도국제도시 등이 건설됐다. 인천시민과 경기도민들이 도로 하나 정도를 거리에 두고 한 생활권으로 묶여 지내게 된 것이다.검단신도시 계획인구 18만명, 삼산지구 위치한 삼산동에 6만명, 소래논현지구 있는 논현동 6만명, 서창동 5만명, 송도국제도시 계획인구 22만명까지 인천 전체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1) '베드벨트' 연결된 인천·경기, 생활권도 하나로 지난 수십년 넘게 인천은 땅 외곽에 대규모 주택단지들을 지으면서 도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기존 원도심에 살고 있는 원주민을 설득해 보상비를 주는 개발 방식보다는 논이나 밭이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해제하거나 갯벌을 메워 아파트를 건설하는 편이 품도 덜 들고 금전적으로도 훨씬 수월했기 때문이다. 한정된 토지에서 도시를 개발해야 하는 서울과는 사정이 달랐다.외곽 신도시를 앞세운 인천의 확장성은 주변 김포, 부천, 시흥 등 살을 맞댄 경기지역 도시와 밀접한 연관을 맺게 했다. 도로 하나를 행정 경계로 두고 '베드타운' ['메가인천' 기능으로 엮자] (3) 관문 넘어 수도권 중심…생활권 잇는 전략 세운다 (끝) 도시는 살아 있다.사람이 흥한 도시는 활력이 넘치고, 사람이 멸한 곳은 뒤안길로 사라진다. 그렇기에 도시의 영속성은 끊임없는 자기 분열과 결합을 통해 이뤄진다. 바다에 면한 인천은 한반도 중심 요충지다. 그간 인천은 서울의 위성도시에 머무르며, 중심이 아닌 주변부로 인식됐다.인천이 주목받고 있다.관문도시 '인천'을 넘어 수도권 중심으로 성장하기 위한 메가 전략이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30년의 시도. '이번엔'대도시권(Mega City Region,MCR)의 정의는 명쾌하다. '국제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