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인천시장 선거에서 주요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세웠던 인천은행 설립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선거 전후 인천은행 관련 공약을 수정한 이후 공식적으로 인천시가 인천은행 설립에 주저하는 사이 인천은행의 대체재 중 하나로 꼽혔던 인천형 상호금융기관(새마을금고) 역시 인천시 주도 설립이 어렵다는 결론을 직면했기 때문이다. 최근 인천시는 인하대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소상공인 금융접근성 실태조사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를 공개했는데, 인천은행의 대체재 중 하나로 꼽혔던 '인천형 새마을금고' 형태의 인천은행 설립은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인천은 300만 인구가 거주하는 거대한 도시로 서울에 이어 2대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으며, 재외동포청이 송도국제도시에 자리를 잡으면서 1000만 도시를 선언했다. 하지만 인천지역은 경기은행 퇴출 이후 지방은행 불모지로 전락한 지 30년을 앞두고 있다. 1969년 인천상공회의소의 주도로 인천은행이 설립된 뒤 1972년 금융 영업구역을 경기지역으로 확대하면서 상호를 경기은행으로 교체됐다. 금융위기로 한미은행에 인수된 뒤 2003년 미국계 금융회사인 한국씨티은행에 흡수·합병됐다. 인천시금고까지 맡았던 한국씨티은행은 얼마 전 소비자금융 사업에 대한 청산을 결정했고, 철수수순을 밟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최근 10년간 모두 62곳의 시중 은행 점포가 통폐합 등을 통해 문을 닫아 현재 인천에 남아있는 은행 점포는 238곳에 불과하다. 그 사이 대구은행은 지방은행을 넘어 시중은행을 표방하면서 최근 7개 점포를 확장하고 있다.

인천처럼 지방은행이 없는 전국 광역단체 중 현재 지방은행 설립 움직임이 두드러진 곳은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다. 이들은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공동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강원도에서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지방은행을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2대 총선이 다가오고 있다. 인천은행을 설립하겠다는 정치인이 없어 중소기업인들이 소매를 걷고 나섰다는 것은 인천의 위상과 맞지 않는 일이다. 인천은행 설립의 당위성은 충분한 만큼 인천은행 설립의 불씨를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에 정치권이 귀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