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가 발굴한 '독립유공자'들이 빛을 보지 못한 채 갇혀 있다. 정부 포상 신청 처리에 통상 6개월 이상 걸리는 등 심사에서 뒷전으로 밀리기 일쑤여서다. 그러다 보니 지자체에서 추가로 발굴 사업을 계획하는 데도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독립유공자 포상 작업을 주도하는 정부는 대상자 선정에 늑장을 부리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인천에서도 지자체 자체로 발굴해 세상 밖으로 나온 독립유공자 수십명이 오랫동안 걸맞은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중구와 강화군의 경우 지난해 3월 국가보훈부에 각각 독립유공자 51명과 30명을 정부 포상 대상자로 선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수십년간 인천에서 지낸 독립유공자 81명은 인천지역 독립유공자 발굴 연구용역을 통해 발견됐다. 이후 국가보훈부는 지난해 하반기 강화군에 30명 중 이미 포상을 받은 이를 제외한 18명을 살펴보겠다고 답했고, 중구에는 51명 중 행적 미상자 등을 뺀 37명이 심사 대상임을 최근에서야 안내했다.

그런데 두 지자체는 아직 55명(중구 37명·강화군 18명)에 대한 심사 결과를 받지 못했다. 포상을 신청한 지 벌써 1년8개월 이상 흐른 상태다. 지자체가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하면 국가보훈부는 이미 포상을 받았는지와 유족 신청 및 정부 발굴 여부 등을 검토한 뒤 심사 대상을 가려낸다. 이후 전문사료발굴분석단의 공적·행적 조사와 독립유공자 서훈 공적심사위원회 심사, 공개 검증 등을 거쳐 서훈 추천 대상을 최종적으로 확정한다. 지자체에서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를 진행해 달라고 계속 요청해도 '하세월'일 뿐이다.

독립유공자에 대한 포상 선정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은 고질적인 문제다. 독립유공자 후손이 생존하고 포상을 신청하지 않으면, 지자체 등의 제삼자 신청 건은 뒤로 밀릴 수밖에 없는 처지여서다. 독립운동사연구소에서도 5년간 10차례에 걸쳐 4377명에 대한 포상을 신청했지만, 아직 3분의 1도 심사하지 못했다고 한다. 독립유공자 발굴은 국가에만 주어진 역할이 아니다. 지자체와 연구소 등에서도 이들의 공훈 발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우리 민족의 정기와 혼을 되살리는 독립유공자들을 찾는 일엔 너나가 따로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