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임상현 경기다르크 센터장이 센터 폐쇄와 관련해 호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임상현 경기다르크 센터장이 센터 폐쇄와 관련해 호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최근 유명 연예인들의 마약 투약 의혹 문제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재범을 낮추기 위해 재활 치료 시설을 요구하는 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임상현 경기다르크 센터장이 센터 폐쇄와 관련해 호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경기도 다르크 엠블럼

그러나 경기도 유일의 마약치료재활센터였던 ‘다르크(DARC)’가 지난 9월 지역사회의 반발로 문을 닫게 되면서 마약중독환자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관련기사: 경기도 유일 마약재활센터 폐쇄…중독 환자 '치료 절벽'

다르크는 2012년 서울센터 개소를 시작으로 인천, 경기, 김해, 대구 등 전국에서 불과 5군데에서만 운영하고 있는 합숙형 민간마약치료재활시설이다. 이중 경기도 다르크는 15명이 입소해 있어 가장 큰 규모로 운영돼 왔다. 올해 3월 남양주 퇴계원에 있던 시설에서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하기 위해 호평동으로 이전하려 했지만 인근 주민의 반발로 운영 중단 위기에 처하게 됐다. 여기에 남양주시가 지난 6월 ‘시설 미인가’를 근거로 고발에 나서게되면서 운영 중단 행정명령이 내려졌고 다르크는 즉각 대응에 나서 남양주시 보건소에 시설 신고를 추진했지만 지난 9월 입지장소 부족과 사업계획자료 미비를 이유로 신고 불가를 통보 받았다.

다르크를 운영해왔던 임상현 센터장은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임상현 경기다르크 센터장이 센터 폐쇄와 관련해 호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임상현 경기다르크 센터장이 센터 폐쇄와 관련해 호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임 센터장은 “소송 과정에서 재판부가 남양주시의 요구와 절차대로 수행 후 신고하라는 판결에 따라 이행했고 신고를 했지만 불가 판정을 받았다. 학교 주변으로 위해시설이 들어올 수 없다는 점과 상담실, 사무실을 같이 쓰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사 장소를 물색하기 전 충분히 사전에 허용 가능하다는 합의를 얻어 이사를 하게 된 부분이었다. 시는 대책없이 무턱대고 나가라고만 하고 있다. 또 상담실과 사무실을 같이 쓰면 안 된다는 조항은 어디에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센터가 폐원을 한 것은 아니다. 호평동으로 이사 후 임대료 등 비용이 발생하니 울며겨자먹기로 현재는 다른 임차인을 구하고 있고 더 이상 싸우기 싫어 스스로 나온거다. 특히 아이들의 재활치료를 중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시설 폐쇄 후 일부 입소자들은, 가정이나 양주의 한 정신요양시설로 옮겨와 임시 거처에서 재활 치료를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입소자 3명이 이탈하고 2명이 가정으로 돌아가 또다시 마약에 손대게 되면서 현재는 수감 생활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임 센터장은 “우리 아이들은 마약을 하러 오는 아이들이 아니다. 마약을 끊기 위해 센터를 스스로 찾은 아이들이다. 각자 사회에 돌아가 마약 범죄에 노출되는 건 괜찮은 건가. 오히려 센터에서 24시간 이들을 케어하며 사회에 자립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곳이 다르크다”며 “12년부터 다르크 개소 후 단 한건에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 사례는 없다. 개인이 치료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활보하게 뒀을 때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더 많다. 센터의 입소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고 토로했다.

실제 경기도 다르크는 2019년 개소 후 85명의 입소자들이 거쳐 갔다. 이중 60여 명이 일상으로 복귀해 사회인으로 살아가고 있다.

▲“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임상현 경기다르크 센터장이 센터 폐쇄와 관련해 호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마약중독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다. 내 가족의 일이고 우리 이웃의 문제다. 이 사회가 마약으로 엉망이 돼 가고 있다. 이제는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설 때.” 임상현 경기다르크 센터장이 센터 폐쇄와 관련해 호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임 센터장은 뿌리깊게 퍼져있는 마약범죄 근절을 위해 국가와 지자체가 대안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연예인들의 마약범죄 등 수면 위로 드러난 마약 문제는 빙산의 일각이다. 나 역시 마약중독자로 40년을 힘겨운 싸움을 해 왔다. 의료기관과 재활기관이 맞물려 운영될 때 재범률을 낮추고 마약근절과 퇴치에 효과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혜림 기자 ham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