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너도 나도 울긋불긋해지는 단풍을 즐기는 가을이 날로 깊어가고 있다. 그렇긴 해도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아래선 찜찜한 기분을 떨칠 수 없다. 떨어진 은행이 퀴퀴한 냄새를 풍기는 탓이다. 우리에겐 가로수로 흔해, 가을이 무르익으면 그 열매를 밟고 지나기 일쑤다. 은행나무는 병충해에 강하고 도심의 탁한 공기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지닌다. 국내에선 경기도 양평군의 용문사 은행나무 등 20여 그루가 천연기념물로 보호를 받고 있다.

아무래도 도심에서 은행잎이 쌓인 길을 걸으며 가을 정취를 느끼기엔 열매에서 나오는 악취가 방해를 한다. 열매를 맺지 않는 수나무만 심으면 되겠지만, 묘목 과정에선 암수 구별을 할 수 없다고 한다. 최근 들어선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연구를 거듭한 끝에 1~2년생 은행나무의 유전자를 분석해 성별 파악 방법을 개발했다. 도심 가로수를 수나무 중심으로 대체할 수 있어 자치단체마다 반기는 분위기다.

'은행'이란 이름은 씨의 껍질이 은(銀)빛처럼 하얗고, 씨가 살구(杏)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졌다. 공손수(公孫樹)라고도 하는 은행나무는 자라서 열매를 맺기까지 수십년이 걸린다. 할아버지가 나무를 심으면 손자가 그 열매를 따먹는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향교와 서원마다 은행나무를 심었는데, 선비들이 학문을 정진하는 곳을 의미한다.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서 학문을 닦았다는 '행단'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인천에도 수령 800여년의 은행나무가 수려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인천대공원 옆에 자리한 장수동 은행나무로, 1992년 12월 인천시 기념물로 지정됐다. 이어 2021년 2월엔 천연기념물로 승격했다. 높이 30m, 둘레 8.6m에 이르는 이 은행나무엔 오래 전부터 마을 주민들이 제(祭)를 올렸다. 마을에 액운이 돌 때는 물론 풍년과 무사태평을 빌기 위해 제물을 바치고 치성을 드린다.

남동구가 이달 말까지 장수동 은행나무 주변에 '광장'을 조성하기로 해 관심을 모은다. 예산 확보에 난항을 겪으며 2년여간 답보 상태에 빠졌던 사업이 드디어 본궤도에 오른 셈이다. 은행나무 일대에 관리사무실, 잔디광장, 산책로, 화장실 등의 휴게공간을 꾸민다. 구는 문화재청에 국비를 신청하는 한편 인천시에 특별교부금을 요청해 총 사업비 47억원을 확보했다.

장수동 은행나무는 다른 곳과 달리 아주 풍성한 가지를 자랑한다. 균형을 잡은 가지들이 멋진 수형(樹形)을 이루며 뻗어 있다. 광장 조성 사업을 마무리하면, 인천의 새로운 '명물'로 등장할 듯싶다. 천연기념물인 이 은행나무를 잘 보전해 시민들에게 사랑을 듬뿍 받는 곳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출범 20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출범 20주년(10월15일)을 맞았다. 지난 세월 동안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개발 현장을 보며 새삼 '상전벽해(桑田碧海)'란 말을 실감한다. 갯벌을 메우고 그 위로 쭉쭉 뻗은 고층건물이 들어서면서 '첨단 글로벌 도시'로서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IFEZ는 이제 '도시 개발은 이렇게 하는 것'임을 뽐내며 세계인의 이목을 끈다.국내에서 경제자유구역(FEZ) 지정 필요성은 지난 1997년 IMF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제기됐다. 보유외환 부족의 타개책으로 외국인 직접투자 유 [썰물밀물] '마계 인천'에 대한 소회 '마계(魔界) 인천'. 무슨 영화 제목 같다. 그런데 그 안을 들여다 보면 인천을 비하하는 듯한 말이어서 어처구니 없다. 충격적인 범죄가 인천에서 자주 발생해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이 표현이 처음 등장한 건 지난 2017년 3월 초등학생 살해 사건 때였다. 10대 소녀가 저지른 잔혹한 범죄에 대한 한 온라인 기사 댓글에서 비롯됐다. “역시 마계(악마의 소굴) 도시 인천”이란 짧은 글이었다. 금방 사라지리라고 예상했던 '마계'란 단어는 온라인을 통해 꾸준히 퍼져 나갔다. 마계란 말이 붙어 있지 않은 인천 [썰물밀물] 맨발 걷기 열풍에 대해 요즘 공원이나 산책로 등지에 가면, 맨발로 걷는 이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혼자서 또는 삼삼오오 짝을 지어 맨발 걷기 운동에 여념이 없다. 때론 한결같이 묵상에 빠지거나, 서로 대화를 나누며 즐거워하는 모습 등이 눈에 띤다. 기자도 슬그머니 신발과 양말을 벗어 던지고 한통속으로 맨발 걷기를 해본다. 기분이 가벼워짐을 느낀다. 한두번에 그치지 말고 꾸준히 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게 맨발 걷기 예찬론자들의 설명이다.최근 들어 맨발 걷기가 건강에 좋다는 소문이 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끈다. 맨발걷기시민운동본부까지 있으니, 그 열풍을 [썰물밀물] 한용단과 '구도(球都) 인천' “야구 이야기가 나오면 어렸을 때 웃터골에서 애를 태워가면서 손에 땀을 쥐고 지켜보던 한용단(漢勇團)의 믿음직한 모습이 아련하게 떠오른다. 한용단이 유명했던 것은 야구를 잘한다고만 해서가 아니었다. 그간 쌓이고 쌓였던 일인(日人)에 대한 원한과 울분을 한때나마 야구경기를 통해서 발산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용단이 나온다는 소문이 돌면, 야구를 잘 모르는 이들까지 열병에 들뜬 것처럼 웃터골로 모였다.”고(故) 신태범 박사가 회고하는 한용단의 야구경기 장면이다. 웃터골은 지금 제물포고교가 자리잡고 있는 곳으로, 1920년 인천부에서 [썰물밀물] '지역 문화 매력 100선'과 녹청자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서구 경서동 녹청자박물관과 함께 강화군 내 소창 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 기독교 역사기념관, 연수구 내 국립세계문자박물관 등 인천의 문화시설을 '로컬100(지역 문화 매력 100선)'으로 선정했다. 지역 문화의 매력과 가치를 널리 알리려고 명소·콘텐츠·명인 등을 뽑아 발표한다. 여기엔 전국적인 유무형의 명소 58곳, 콘텐츠 40개, 명인 2명 등이 포함됐다.이 중에서도 사적 제211호로 지정된 녹청자박물관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 박물관은 경서동 요지서 출토된 유물을 주로 전시하는데, 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