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문화재단 11월까지 사업
▲
▲ 지난 9월 7~8일 연천에서 열린 '에코스테이 주민(Zoom-in)' 프로그램의 진행 모습.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지역주민이 지켜나갈 유·무형의 자원들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경기에코뮤지엄'이 살아 숨쉬는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관련기사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평화의 땅 DMZ 걸으며 전쟁 상흔 치유하다 ① 

경기문화재단은 경기도와 함께 지난 3월 워크숍을 시작으로 오는 11월까지 지역 주민과 예술인이 협력해 지역을 해석하고 발전시켜나가는 '지붕 없는 박물관'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인천일보는 지역이 만드는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에코스테이 주민(Zoom-In)'의 마지막 프로젝트 'DMZ산보'를 시작으로, 지역의 문화예술을 아카이빙하며 치유와 회복을 노래한 '로컬테라피 조안생활사'를 연속해 소개할 예정이다.

▲ 지난 13일 파주 해마루촌 일대에서 진행된 'DMZ 산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시민이 덕진산성 둘레길을 걷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 지난 13일 파주 해마루촌 일대에서 진행된 'DMZ 산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시민이 덕진산성 둘레길을 걷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이어서 지역의 특색을 살려 시민 참여형 발굴 프로젝트를 진행한 '우음도 디스커버리-참나무숲의 악동들'과 권역별 네트워킹 활동, 성과 공유회 등을 기획으로 게재할 예정이다.

지난 2016년 해양문화 중심의 '경기만(서부)'에서 시작된 에코뮤지엄 사업은 기지촌 및 냉전유산과 생태자연 중심의 '경기DMZ(북부)', 남북한강 생태자원 및 생활문화 중심의 '경기한강수계(동부)', 전통적 원도심 커뮤니티 중심의 '경기 원도심(남부)' 에코뮤지엄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해왔다.

이 사업은 지역 자원의 고유한 가치와 특색을 살려 지속가능한 발전의 미래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올해는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영역을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만들어가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은 단일 공간을 넘어 열린 환경에서 생활유산을 보전, 활용하는 대안적이고 실천적인 박물관 활동을 의미한다.

여기에 주민 주도 활동과 지역에서의 지속가능성을 추가해 거점 공간을 조성하고, 인증 및 재인증 제도를 적용해 경기도 전역을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넓혀가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경기문화재단은 이런 실천적 활동을 위해 활동조직의 확대와 안정화를 위한 운영비와 다양한 역량 강화 기회를 제공 중이다. 현장 컨설팅과 사례교육, 홍보와 네트워킹 구축 등이 그 사례다. 지역 활동가들이 상호보완을 통해 지속가능한 활동기반과 지역문화 생태계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인접지역 및 사업유형에 따라 공통의 고민과 협업방안을 나누는 권역별 네트워크도 구축해나가고 있다.

올해는 지역 정착 및 활성화를 목표로 한 2~3년차 연속지원팀 23팀과 신규지원 7팀, 모두 30팀의 문화예술단체가 '지붕 없는 박물관' 사업을 진행해 나갔다.

심현철 경기문화재단 지역문화실 책임은 “서남부 원도심, 동북부 한강수계 등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과 마을들을 중심으로 지역재생 사업을 추진해왔다“며 ”지역 주민과 예술인의 다채로운 협업들이 지역문화 특색을 살려내며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더 많은 도민을 위해 문화 향유 기반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지혜 기자 pjh@incheonilbo.com



관련기사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평화의 땅 DMZ 걸으며 전쟁 상흔 치유하다 ① 전쟁과 평화의 상징 DMZ(비무장지대)가 생태의 보고로 떠올랐다. 전쟁이 훑고 간 자리에 철새가 날아들고 씨앗이 싹트며 평화와 치유의 상징이 되었지만, 그 자리를 다시 사람이 차지하며 토종과 외래종이 뒤섞이는 생태계 교란이 재현되고 있다. 다변하는 DMZ의 생태는 역사 그 자체다. 경기문화재단과 DMZ 문화예술공간 통은 해마루촌을 중심으로 '지붕 없는 박물관' 사업의 일환인 '에코스테이 주민(Zoom-In)'을 진행하며 지역주민과 생태학자, 예술가와 함께 전쟁과 상처의 극복, 자연의 위대함을 통한 인간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희로애락 담은 집, 주민의 삶도 녹여냈다 집은 사람을 담는다. 사람을 담은 집은 그곳에서 살아간 사람들의 삶도 고스란히 품는다. 남양주시 조안면의 가옥들은 곡선 아름다운 처마 끝 수많은 식솔을 꾸려나간 역사를, 전쟁 이후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으며 꿋꿋이 삶을 지켜온 지역민들의 치열한 인생을 담고 있다. 경기문화재단과 공공예술들로화집단은 조안면의 역사 그 자체인 가옥들을 면밀히 들여다보는 작업을 시작으로, 조안면의 생태와 역사,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예술인 자원을 활용해 생태문화예술 관광을 특화하는 '조안 오래오래-지붕 없는 박물관'을 진행했다.▲ '조안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牛~牛~ 섬에 생태문화 바람이 분다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에 '우음도(牛音島)'가 있다. 섬에서 불어오는 바람소리가 소 울음소리와 닮았다 하여, 섬의 모습이 소 두 마리가 등을 마주하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이름 붙여졌다.면적 0.42㎢에 해안선 길이 2.4㎞인 우음도는 작지만 한 때는 37가구가 살고 분교가 있을 정도로 활기찬 섬마을이었다. 그러나 시화지구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교통이 닿으며 자연 환경은 크게 변하기 시작했다. 섬을 지키던 사람들도 하나 둘 떠나갔다. 이런 상황 속에서 우음도만의 생태와 문화, 자연 환경을 기록하고 조명할 목적으로 시작된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