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내항 1·8부두가 10월15일 인천시민의 날을 맞아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내항 개방 사업은 시정 개별 사업 중 하나가 아니다. 우선 개방의 성패는 내항 재개발 사업, 나아가 제물포르네상스 성패를 좌우할 바로미터이다. 개방된 부두가 시민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죽은 공간이 되면 시민들이 체감하는 내항 재개발 사업의 필요성이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천항은 1876년 부산, 1880년 원산에 이어 1883년 개항했다. 1876년 강화도조약에 따라 외세에 의한 근대 강제개항의 슬픈 역사를 안고 있다. 인천항은 근대식 갑문이 설치되면서 국제 교류 중심지로 급성장했다. 식민지화를 앞당겼다는 어두운 그림자도 존재하지만 6·25전쟁에도 살아남아 산업화의 근간이 됐다.

이제 개항 140년을 맞아 인천내항 일부가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돌아왔다. 내항 개방은 부두 기능을 잃어가는 오래된 항만 몇 개를 단순히 개방한다는 의미에서 인천이 진정한 바다의 도시로 거듭나는 첫 걸음이자 인천의 지역 불균형 격차를 메울 하나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민선 8기 인천시정의 최대 현안은 '제물포르네상스'다. 이 사업 중심에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이 놓여 있다. 이 사업은 내항 1·8부두 42만9000㎡를 재개발 하는 것으로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 추진계획 4대 전략 중 하나다. 2016년 내항 8부두 5만㎡가 항만 보안 구역에서 해제됐고, 인천시는 내항 8부두 부지 2만600㎡를 추가로 개방하기로 인천항만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완료했다.

하지만 내항을 개방하더라도 당장 시민들이 바다를 즐기는 친수공간이 되기는 어렵다. 개방 구역과 바다 사이에는 보안 철책이 설치돼 바다 조망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항만업계에서는 “개방 효과도 없는데 무리하게 항만기능만 축소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인천신항 배후단지 민영화 논란, 중고차 수출단지 조성, 인천지방해수청 인천시 이양문제, 궁극적으로 인천항만공사 지방공사화 하는 방안 등 항만업계 현안이 존재한다. 인천시가 내항 우선 개방을 계기로 항만업계 현안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제물포르네상스 성공과 인천항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