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석훈 백령중고 교감·인천섬유산연구소 이사.
▲ 김석훈 인천섬유산연구소 이사·문학박사

1929년 미국에서 발생한 경제대공황은 전 세계적으로 먹고사는 문제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일본은 난국 타개의 하나로 1931년 관동군이 만주 일대를 점령하는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국을 수립하고, 조선에 대해서는 민족말살정책을 통해 대륙 침략을 위한 병참기지화로 삼았다. 마침내 1937년 베이징 근처 루거우차오(盧溝橋) 사건을 빌미로 중·일전쟁을 일으키며, 인적 물적 자원 수탈을 위해 1938년 국가총동원령을 선포했다. 곧바로 일본식 이름(創氏改名)을 쓰도록 강요하며, 거부하는 사람에겐 불이익과 함께 '불령선인(不逞鮮人)'이란 낙인을 찍었다. 나아가 1941년에는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일으키며, 본격적인 징용, 징병, 공출 등을 자행했던 시기로서 이 1930~40년대 신도교회와 교인은 어떤 활동을 이어갔을까?

 

▶ 신도교회와 교인의 활동(1930~1940년대)

1930년대의 종교 활동은 1934년 고남리교회에서 금주단연회(禁酒斷煙會)가 조직되어 경제적 저항운동을 전개했다는 점이다. 사실 금주단연운동은 3·1운동 이후 민족운동의 열기 속에서 민족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민족 기업을 설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민족 자본이 필요하게 되면서 추진되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 종교계는 이 운동이 종교 윤리와 부합되어 본격적인 운동을 전개하며, 동아일보에는 “1933년에는 조선기독교연합공의회 등 전국의 기독교 각 기관이 총동원되어 금주 단연의 선전기를 들고 10여만 매의 전단을 뿌리며 금주가(禁酒歌, 감리교인 임배세가 작사)를 부르고, 가두 행진을 벌였다”고 보도하고 있다.

한편, 고남리교회는 다음 해인 1934년 1월에 이 운동을 실천하고 있는데, “신도 고남리교회에서는 동리의 청소년이 지나간 (1934년) 1월16일에 금주단연회를 조직게 하였다는데 앞으로 과거에 소비한 술값과 담뱃값만큼을 저축하였다가 상당한 자금이 되면 부업기관을 시설하리라 한다. 피임된 임원은 회장 전창실, 부회장 한정옥, 서기 김영록, 간사 유순창, 김문회, 유사원, 박흥록, 천희규, 천대규, 박근산, 전성실, 총무 윤효진, 고문 이치명”이었다.

도서 지역에서의 작은 실천이 1920년대 이후 애국계몽운동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진 항일운동의 일환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당시 이천국, 이치명, 정등운, 조용구 목회자들의 활동도 큰 힘이 됐다. 특히, 이치명의 역할은 이 역사적 사실을 전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1935년 이치명 전도사가 사망한 후 1945년 해방 직전까지 고남교회에 상주하는 목회자가 없었다.

설상가상으로 1940년대는 일제가 일본식 성명 강요를 비롯하여 징병, 징용, 공출 등 민족말살정책으로 남자들은 외지로 나가 직업을 찾거나 강제 동원, 신사참배, 그리고 교회의 경우 성경 읽기, 찬송 부르기, 예배 시간도 통제받던 시기여서 교회의 경우 어려움이 가중되었다.

이 시기 가장 많은 수고를 한 사람은 김영순 권사였다. 그는 만 16세이던 1933년 10월10일 고남리교회의 교인이 되었고, 20대 중반이던 1940년대 극히 어려웠던 일제 탄압 속에서 교인을 방문하여 병자를 위한 기도, 마을의 관혼상제에 협조, 노인 존경을 실천하고 아래 사람들을 사랑하니 그녀를 따르는 자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수시로 경찰의 조사를 받아 교회 신도에게 하는 설교 내용, 주일학교 교재, 궁성 요배, 황국신민 서사 암송 후 예배, 출애굽기 읽지 말기, 교회 종 공출 등등 검열과 탄압 속에서도 예배를 인도하고 교회를 발전시키는데 큰 공헌을 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의 고난과 탄압 속에서도 고남리교회는 복음에 기초해 있으면서 지역사회와 주민에게 끊임없이 다가서며 펼친 신앙 활동이 부활과 부흥의 비결이었다.

/김석훈 인천섬유산연구소 이사·문학박사



관련기사
[김석훈의 보물섬] 일제강점기 신도교회와 교인의 활동 1904년에서 1905년경 이봉운씨가 첫 예배를 시작하며 신도교회의 첫 역사를 시작했다. 당시 조선을 둘러싼 국제 환경은 1904년 일본이 러·일전쟁을 일으키며 한일의정서를 체결했고,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을사늑약을 강제하여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하였다. 세계사적으로는 사회진화론의 논리 속에 약육강식, 우승열패가 인정되어 강자에 의한 식민지화 즉 제국주의가 당연시되는 상황에서 조선과 같은 약소민족은 의병 활동, 애국계몽운동으로 항일 운동을 벌였다. 이중 애국계몽운동은 산업과 교육을 부흥해 실력을 양성하는 것이었다. [김석훈의 보물섬] 신도교회의 역사 영종도 삼목 선착장에서 출발해 신도에 도착하기 전 구봉산 남녘 양지에 보라색 지붕 마을이 신도2리 고남리 마을이다. 그중에서도 마을 중심부에 십자가를 받치고 우뚝 선 건물이 감리회 소속의 신도교회이며, 아마 대부분의 마을 주민이 이 교회의 신도일 것이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든다. 신도교회는 2004년 현 위치에 새 성전 건축을 시공하고, 그해 12월 30일 준공했다. 그리고 2005년 3월25일 새 성전 봉헌 감사 예배를 드렸다. 현재 120년의 긴 내력을 가진 이 교회는 어떤 역사를 간직하고 있을까? ▶ 신도교회의 역사신도교회는 [김석훈의 보물섬] X-Ray 작전과 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 매년 9월 15일을 전후한 시기, 인천의 도서 지역(옹진, 강화군)은 추모의 향과 빛이 다른 지역보다 진하다. 국가를 위해 공헌·희생한 분들의 정신을 기리고 후손에게 애국심 함양을 위한 현충 시설에서의 추모 열기 때문이다. 지난 9월13일에도 영흥도의 해군 전적비에서는 'X-Ray' 작전 14위를 기리는 추도식이 거행됐다. 영흥도에서는 어떤 사건이 있었을까? ▶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 그리고 'X-Ray' 작전우리나라 국민이라면 '인천상륙작전'을 다 알 것이다. 73년 전인 1950년, 6·2 [김석훈의 보물섬] 질 좋은 소금을 생산했던 신도3리, 염촌마을 신도에서 가장 북동쪽에 있는 염촌(塩村) 마을은 주변의 구봉산(179.6m)을 정점으로 끊어질 듯 북동쪽으로 이어진 왕봉산(136.2m)과 다시 동남쪽으로 연결된 안산(101.1m)으로 둘러싸인 아늑한 지형에 있다. 과거에는 바닷물이 마을 가까이 깊숙하게 들어왔으며, 그런 연유로 산록의 완사면에 해안가를 따라 마을이 형성되었다.해안가를 살펴보면 시도와 강화도를 마주보는 마장지구와 이를 돌아가면 동북쪽의 끝에 있는 하모리 선착장, 여기서 남쪽으로 내려오면 능원이 해변, 안산 해안가를 돌아 밑으로 오면 과거 갯부리 선착장이 있다. 한편 [김석훈의 보물섬] 신도3리 왕봉산 구들장 채석과 마장지구 간척 ▶ 왕봉산 구들장 채석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은 구들이다. 구들은 아궁이, 고래, 굴뚝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고래는 아궁이에서 지핀 불기운이 고래 뚝에 얹힌 구들장을 데우면서 방바닥에 온기를 전달한다. 여기서 쓰이는 '구들장' 일명 '온돌'이라 불리는 석재를 왕봉산에서 채취해서 썼다. 신도3리에 왕봉산의 구들장 채석장은 신도리 산 38-7 부근이며, 채취 시기는 1930년대 처음 시작되어 1950년 6·25 전쟁 이후 전성기를 이뤘다. 이곳을 최초로 광산 경영한 사람은 당시 신도3리에 거주했던 윤정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