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결원으로 인한 지역 보훈병원의 진료 중단이 심각한 수준을 보인다. 국가유공자의 보건의료 향상을 위해 존재하는 보훈병원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가유공자를 우대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이 말로만 그친다는 우려를 낳는다.

공공의료기관인 보훈병원은 현재 중앙·부산·광주·대구·대전·인천 등 모두 6곳에서 운영되지만, 전문의를 두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9월까지 전문의가 없어 진료과목 휴진에 따른 진료 중단은 입원환자 2만4785명에 이른다. 여기에 외래환자 11만9591명을 합하면 총 14만4376명에 달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진료 중단 환자 추정 수에서 인천보훈병원이 총 7만1440명으로 가장 많았다. 대구보훈병원 3만9437명, 광주보훈병원 2만3266명, 대전보훈병원 1만233명 순이다.

2023년 8월 기준 보훈병원 전문의 결원율에서도 인천은 28.0%로 제일 높았다. 다음으로 광주 12.5%, 대구 10.2%, 중앙 5.5%, 부산 4.3%, 대전 3.8%로 드러났다. 이렇게 전문의가 없는 등 진료체계 어려움으로 최근 5년간 4개 지역 보훈병원 18개 진료과목에서 22차례 진료 중단이 일어났다고 한다. 특히 인천보훈병원의 경우 여태껏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순환기내과와 소화기내과의 진료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보훈병원은 해당 진료과목 전문의를 구하기 위해 순환기내과 29차례, 소화기내과 17차례에 걸쳐 채용공고를 올렸어도 아직 전문의를 찾지 못한 상태다.

정부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유공자들을 특별하게 처우하겠다고 입으로만 떠들 게 아니라, 병든 국가유공자들을 먼저 보살피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 전문의 결원 문제를 뒤로 미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보훈병원을 찾는 환자들을 되돌려보내는 일은 수치스러울 정도다. 아직도 전문의를 충원하지 못한 지역 보훈병원에 대해선 보수 현실화와 정주여건 개선을 통해 전문인력을 보강하려는 책임 의식이 절실하다. 보훈병원의 본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의무는 전적으로 정부에 있는 만큼, 전문의 결원 사태를 하루빨리 해결하라고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