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이 인천 시민의 지지를 받으며 지난 6월 인천 송도에 개청했으나 수개월이 지나도록 시민의 기대에 전혀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껏 재외동포청의 행보를 보면 과연 재외동포청이 인천과 공존 발전하려는 일말의 의지라도 있는 것인지 의구심이 들 정도이다. 이 때문에 이번 국정감사에서 재외동포청에 대한 집중 점검이 시급했으나 재외동포청에 대한 국감은 국회의원들의 무관심 속에서 쟁점 없이 싱겁게 끝났다.

지난 1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외통위 국회의원들은 재외동포청을 상대로 단 한 건만 질의했다. 이날 대부분 질의는 외교부에 집중됐다. 그나마 지역구 의원인 윤상현 의원이 재외동포 복수국적 취득 연령 하향 문제를 제기했을 뿐인데, 사실상 재외동포청 패싱 수준이었다. 시민 역량을 모두 모아 유치 운동을 벌여왔던 인천 시민으로선 정치권의 재외동포청 패싱과 재외동포청의 인천 홀대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재외동포청을 향한 기대는 시간이 지날수록 실망감으로 바뀌고 있다. 청이 정부 산하 기관이다 보니 지역 사회와 다양한 접점을 찾지 못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재외동포청의 인천 패싱, 홀대는 정도가 지나치다. 한 예로 청은 지난 9월 동포 보듬기 1호 사업으로 원폭 피해 동포 40여명을 한국으로 초청했지만 서울 방문 일정만 세우고 인천을 패싱했다. 인천 홀대, 인천 패싱은 이뿐만이 아니다. 재외동포청은 1000억원 규모 내년도 예산안을 세웠는데, 인천에서 이뤄지는 행사나 사업은 한 건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와 인천 지역 사회가 재외동포청을 유치하며 품었던 750만 재외동포의 구심으로서의 꿈과 미래가 신기루로 전락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인천연구원은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로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연간 15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재외동포청의 행보를 보면 소박한 기대마저도 점점 빗나가고 있다. 재외동포청은 자신을 스스로 행정기관으로 국한하는 협소한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인천이 750만 재외동포의 네트워크와 경제활동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 사회와 적극적인 협력 관계를 맺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