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고립인구'가 280만명이나 된다니 놀랍다. 최근 국민통합위가 보건사회연구원 조사를 바탕으로 발표한 자료다. 하지만 더 충격적인 것은 이 가운데 청년들이 4분의 1을 차지한다는 사실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의 고립·은둔 청년은 대략 61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2년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9~34세 청년 중 고립·은둔 청년이 5%인 53만8000명이라는 보고서도 내놨다. 이를 볼 때 100명 중 5명이 사회에서 고립된 청년인 셈이다. '고립인구'는 타인과 유의미한 교류가 없고 곤란한 일이 있을 때 도움을 받을 지지 체계가 없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경기도 청년 인구가 327만여 명인 것을 고려하면 약 14만 7000여 명이 고립·은둔형 청년으로 추산된다. 인천은 추계지만 2만~3만명에 달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실질적 조사통계조차 없다. 근거 조례, 예산 미비 등이 이유다. 이렇다 보니 대책 마련은 고사하고 고립·은둔형 청년 관련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가 내년부터 실태조사에 들어간다는 것이 고작이다.

고립 청년은 삶의 만족도가 낮다. '매우 불만족'과 '불만족' 응답률이 44%나 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고립·은둔 청년이 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가족관계 단절이나 진학·취업 실패, 학교·직장 부적응 등등 속사정이 깊다. 다행히 은둔에서 벗어났다고 하더라도 곧 좌절해 다시 숨어드는 경우가 적지 않다. 현재 고립형 은둔 청년 절반 이상이 재고립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나서다.

개인이 아닌 사회 공동체의 문제로 심각히 인식해야 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만약 이들에게 사회가 손길을 내밀지 않는다면 국가적으로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대책 마련은 미약하다. 지난 6월 초 경기도의회 유호준 의원(민주·남양주6)이 경기도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으나 이조차 타 지원 조례와 충돌한다는 이유로 아직 상정조차 안 되고 있다. 그렇다고 입법 부재 탓만 하고 있을 순 없다. 경기도라도 독자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김동연표 청년정책을 다시 짚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