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운영방안 모색' 세미나


미술관의 범위, 디지털로 확대
차별화된 소장품 제도 등 제안
'해외전문가 운영' 사례 소개도

오는 2027년 개관을 목표로 인천시립미술관 건립 사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미술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효율적인 미술관 행정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7일 인천시와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인천시립미술관의 미래가치를 위한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인천시립미술관 운영방안 연구용역 관계 전문가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정현 인하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는 “서울, 부산 다음으로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인천시는 안타깝게도 본격적인 지역 미술사 연구가 부재한 상태다. (미술사로 엮는 일은) 인천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인천아트플랫폼, 인천문화재단, 미술단체 지역의 작가와 현장 미술인 연구자, 교육기관 등이 협력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인천시립미술관의 소장품 주제로 결정된 '디아스포라'는 역사정치학, 인류학 탈식민주의연구, 미술사학 등 제학문적인 차원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개항의 역사에서 착안해 기존의 물리적인 미술관의 범위를 디지털 등으로 확대해나가야 한다는 제안도 있었다.

'문화 개항지(Open Port)로서의 인천시립미술관'을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선 연구팀 안소현 박사(이화여대 예술학 강사)는 “인천시립미술관의 디아스포라 개념은 선명한 주제로 미술관 소장품의 구심점은 될 수 있지만, 미술관이 수행적 정체성을 보여주고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게 할 만큼 충분한 원심력을 갖고 있지 못하다“며 “(오픈포트를 운영방향으로 잡으면) 인천시립미술관이 주목할 근현대사에 대한 재조명뿐만 아니라 디지털 시대 미술관의 개방성, 그에 따르는 법적·제도적 정비 모두를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국제적 경쟁력이 있는 소장품 미술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차별화된 소장품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뒤따랐다.

서진석 전 울산시립미술관장은 “울산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미술관 소장품 기금제도를 실행했다. 이를 통해 당해년도 예산사용의 행정규칙으로부터 보다 유동적으로 소장품 예산을 활용할 수 있었다”면서 “일반 예산과는 다르게 소장품 예산의 경우 이월 및 불용으로부터 자유로워 좋은 작품 구입 기회가 있을 때 순발력 있게 그 예산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해외 전문가로 구성된 소장 작품 연구·제안 위원회 운영, 해외작가 작품의 경우 국내화랑을 거치지 않고 직접 구매하는 등 울산 사례를 들었다.

서 전 관장은 “미술관의 컬렉션 브랜드를 이원화해 소장품의 미학적 권위와 공공적 권위를 동시에 성취할 수 있었다”면서 “지역 작가의 창작 활동에 대한 지원과 지역성 연구라는 공공적 협력체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