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재석 경기본사 사회2부장<br>
▲ 정재석 경기본사 사회2부 부장

경기도교육청이 올해 친환경 운동장 조성사업에 인조잔디까지 포함하며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석유제품의 부산물로 만들어진 인조잔디를 '친환경'으로 포장했지만, 학교와 각 지자체의 반발이 크다.

경기도교육청의 '친환경 운동장 조성계획'에 포함된 학교운동장 인조잔디 관련 계획은 꾸준히 바뀌어왔다. 지난해에는 지역사회 개방이나 운동부 운영 요구가 있을 경우 외부 재원으로만 조성이 가능하도록 했지만, 올해는 대응 투자 방식으로 도교육청 예산 지원 대상에 인조잔디를 포함했다. 올해 도내 28개 지자체가 대응 투자에 나서 100여개 학교에 인조잔디가 조성될 예정이다. 투입예산은 150억원 상당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인조잔디 유해성에 대한 의구심에 교체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김포시의회가 지난 7월 고촌초 등 4개교 운동장 인조잔디 교체 3억1900여만원을 모두 삭감하는 등 지자체도 반대하고 있다.

도내 A중학교는 인조잔디 설치에 대한 의견 수렴 과정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많아 설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학교 체육관을 학생들이 이용하는 상황에서 인조잔디 수명 대비 높은 설치 비용, 유해 물질 발생이나 여름철 화상 우려 등이 이유로 꼽혔다. 실제로 여름철 폭염으로 인해 인조잔디에 열이 가중되면 표면 온도가 무려 50도 가까이 올라가서 학생들의 화상 위험이 있다. 또 폭염이 계속되면 인조잔디가 녹아내리면서 발암물질을 비롯한 여러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인조 잔디는 수명이 짧고, 정기적인 청소 요구 사항, 일부 충진재에는 폐타이어를 활용하면서 그로 인한 독성 화학 물질로 건강 및 안전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2014년 학교 인조잔디 운동장에서 유해성 물질이 검출돼 문화체육관광부가 전수조사에 나서는 등 논란이 된 후 학교와 학부모들의 우려는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2015년 기준으로 전국에 인조잔디가 설치된 1037개 학교 중에서 941개 학교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고 174개 학교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면서 인조잔디의 금지 추세가 유지됐다. 2017년에도 의왕시 부곡체육공원에서 기준치 64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되는 등 의왕과천지역의 지자체 운영 체육시설 7곳의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에서 '납'과 '6가크롬' 등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인조잔디 유해물질 파동 이후 각 지자체와 교육청별로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 교체공사를 진행하거나 교체방침을 발표해왔다. 서울시 교육청은 학교 운동장에 인조잔디 신규 조성을 중단하고 친환경 학교 운동장 조성을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 2020년 말 전라남도교육청은 전남 도내 인조잔디 및 우레탄 시설 운동장 125곳을 흙이나 천연잔디로 재조성한다고 밝혔다. 또한,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판단된 인조잔디 20곳과 우레탄 105곳에 대해 천연잔디로 교체한다고 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런 흐름과는 반대인 정책을 펴고 있다. 학생의 건강보다는 비용적인 측면을 우선해 고려하기 때문이다. 천연잔디보다 인조잔디 설치비용이 싸고, 유지보수도 낮다는 막연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일례로 2021년 11월에 서울 포이초등학교는 천연잔디 공사를 시작, 지난해 5월 천연잔디 운동장을 갖췄다. 학교 측은 학생과 학부모, 교사, 전문가 등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해 천연잔디 운동장을 시공하기로 결정했다. 천연잔디가 인조잔디보다 장점이 훨씬 많기 때문이라고 했다. 부드럽고 친환경적이며, 학생들의 큰 부상이나 상처를 방지할 수 있고, 인조잔디와 달리 뜨거운 날씨에 화상의 위험도 없다. 또 인조잔디에서 떨어져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조각이나 유해물질로 인한 학생들의 건강 영향도 걱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교육 당국은 근시안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아이들의 건강만을 생각하는 정책을 올곧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

/정재석 경기본사 사회2부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