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에 종합병원을 유치하자는 움직임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보건복지부가 수도권 병상 쏠림 현상에 고삐를 쥐면서다. 영종 지역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선 종합병원을 설립해야 하지만, 불발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 권역 특성을 살린 인천시의 대응 논리 마련이 주목된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지역 병상수급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정부 방침의 골자는 수도권 상급 종합병원 분원 개설이나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개설 시 사전 승인을 받도록 의료법을 개정한다는 데 있다. 전국적으로 병상 수가 증가해 오는 2027년이면 일반·요양 병상 과잉 공급을 우려해 제동을 걸었다. 분원 설립 계획 단계인 상급 종합병원 역시 개정된 의료법 적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결국 300병상 이상 영종 국립 대학병원 분원 유치 전략은 직격탄을 맞게 됐다.

민선 8기 공약이기도 한 이 사업을 위해 시는 서울대학 병원과 분원 설립을 위한 협의를 해왔지만, 물 건너 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는다. 반면 이미 행정 절차를 시작한 서울아산병원과 세브란스의료원 등의 청라·송도 분원 설립은 기존 병상 규모를 유지할 전망이다.

영종은 공항과 해양이란 특성을 함께 갖고 있는 곳이다. 그래서 '특수목적 종합병원' 설립은 더 긴요할 수밖에 없다. 현재 세계적인 공항 주변엔 공항의료센터 등 종합병원 규모를 구축하고 있다. 항공 권역에 대한 특수목적 병원 설립은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게 의료 관계자와 지역 주민들의 주장이다. 여기엔 공항 주변을 단순히 지역 병상 수로만 논할 수 없고, 공항 경제권 활성화에 힘입어 공항 근무자는 물론 정비·수리·분해조립 사업 등의 종사자도 많아진다는 논리를 깔고 있다.

국제공항을 끼고 있는 영종엔 이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유동인구 확대로 종합병원 설립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게다가 감염병 대응과 권역 책임의료기관 중심 네트워크 구축 등의 예외 사항을 고려하면, 영종도의 종합병원 유치는 필수적이다. 지역 주민과 공항 관계자 등의 소중한 생명권 보호를 위해서라도 그렇다. 보건복지부는 공항과 해양으로 어우러진 지역임을 감안해 영종에 '특수목적 공공병원' 설립을 서둘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