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 마음은 '불안한 붉은색'

60주년 디지털리마스터링 복원
안개 낀 바닷가·회색 공장지대
삭막한 사회 속 개인 내면 조명
객석에서

'붉음'은 긴장의 색이다. 그 속에 존재하는 생명은 무언가에 쫓긴다. 한곳에 머물 수 없기에 늘 불안하다.

'파랑'은 정적인 색이다. 푸른 빛이 감돌면 차분해진다. 그러나 꿈틀거리보다 멈춰버린 생명에 가깝다. 살아있는 게 어울리지 않는다.

영화 '붉은 사막'은 붉고, 파란 두 색이 교차한다. 붉은 사막과 파란 사막이 주인공을 늘 혼란케 한다.

이 영화는 이탈리아 감독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첫 컬러영화이다. 졸리고 난해하고 까다로운 도입부를 이겨내면 'FINE(끝)'까지 훌쩍 흐른다.

'붉은 사막'은 제작 60주년을 기념해 디지털리마스터링 영상으로 복원됐다.

이 영화는 색을 통한 주인공, 주변인물의 심리상태가 드러난다.

영화는 초지일관 전자 배경음으로 신경을 곤두세운다. 안개 낀 바닷가, 회색빛(아니 잿빛) 가득한 공장지대와 오염된 바다까지 정상이라 일컬을 영상은 단 몇분에 불과하다.

줄거리는 단순한 듯 복잡하고, 치정인 듯 스릴러다. 교통사고(혹은 자살)로 불완전한 인간이 된 '쥴리아나', 공장장 남편 '유고'는 그런 부인에 무덤덤하다. 공장 밖 파업은 더욱 심해진다. 과연 기계와 인간이 공존하는 공장이 가능할까. 남편 친구 '코라도'가 등장한다. 이제 영화는 이 셋의 굴림으로 진행된다.

쥴리아나는 말한다. “왜 늘 다른 사람의 존재가 필요한 거지” 쥴리아나의 이상은 아들을 통해 투영된다. 영화내내 이 장면에서만 반짝이는 붉음과 빛나는 파랑이 존재한다. 그리고 절대 넘어질 수 없는 자이로스코프 같은 남편과 “내가 있을 곳이 아니라서 떠나려고 해”를 던지는 코라도는 전체 속에 섞이지 못해 늘 주변인처럼 살아야 하는 우리 같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객석에서] 영화 '드림팰리스' 영화 '드림팰리스'는 '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못참는' 세상의 단면을 꼬집는다.2년 전 산업재해로 남편을 잃은 혜정(김선영), 수인(이윤지). 이 사고로 남겨진 가족은 진실을 향해 몸부림친다. 그러나 거대 기업에 맞선 혜정과 수인, 유가족은 점점 지쳐간다. 상처를 주고, 책임을 피하고 싶은 이들. 방화사건은 남겨진 이들의 결속력마저 무너뜨린다.고3 아들을 둔 혜정은 합의를 했고, 보상비로 아파트 드림팰리스로 이사한다. 그런 엄마의 정의롭지 않은 모습에 아들은 실망한다. 방화사건을 홀로 뒤집어쓴 수인의 집 [객석에서] 크리스토퍼 놀런 영화 '오펜하이머' 영화 '오펜하이머'는 시종일관 묻는다. '시작이 곧 끝이다. 그럼에도 시작할 것인가, 아니면 끝을 볼 것인가'.“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바가바드기타(산스크리트어의 거룩한 자의 노래>에서 비슈누가 아르주나를 한 이 말은,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탄생시키며 내뱉은 말이다. 그러나 영화는 이 대사를 맨해튼 프로젝트의 시작 때 이미 던진다.영화는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라는 로버트 오펜하이머 평전을 기초로 찍었다.'불'을 훔친 프로메테우스 이야기로 막이 오른다. 원자라는 [객석에서] '색을 노래하다-앙리마티스' “만약 내가 다시 태어나 그림을 그린다면, 마티스처럼 그리고 싶다.”-피카소 “만약 내가 다시 태어나 그림을 그린다면, 피카소처럼 그리고 싶다.”-마티스 19∼20세기 야수주의 창시자로 알려진 앙리 마티스는 동시대의 파블로 피카소와 서로 표절을 주장하는 라이벌이자 결국엔 영원히 동경하는 사이였다.둘의 관계가 극도로 좋지 않았을 때 피카소가 맹비난한 마티스의 작품 '금붕어와 팔레트'를 음악으로 표현하면 어떤 느낌일까.12월7일 인천 서구 청라블루노바홀에서 역대 미술사조를 대표하는 거장들의 명화를 음악으로 해석하고 1인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