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반에 확산하는 마약 문제가 심각하다. 정부의 '마약과의 전쟁'선포에도 매년 증가세도 가파르다. 따라서 이젠 단속과 처벌 만으론 마약사범을 근절시키지 못한다는 것이 일반론이다. 선진국처럼 중독자 관리에 방점을 찍고 치료와 재활 회복프로그램을 확대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심각함에 비추어 우리의 마약중독 예방·재활 프로그램은 걸음마 수준이다. 관계 당국의 담당 인력이나 치료 지정병원도 턱없이 부족하다. 마약중독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중독 재활 센터도 전무 하다. 그런데다 정부가 2018년부터 운영하는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도 제구실을 못 하고 있다. 역시 인력 부족이 이유다.

복지부가 전국 21개 마약중독자 치료보호 지정병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인천참사랑병원과 국립부곡병원을 제외하고는 실적이 미미하다. 대부분 알코올, 도박, 금연 등 다른 중독자들과 함께 마약중독환자를 관리하고 있어 전문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이러한 빈자리를 사단법인 형태로 운영되는 약물중독 치료공동체 다르크(DARC)가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소재 주변에서 혐오시설로 인식, 배척과 고발이 잦아 이마저 운영이 쉽지 않다. 본보(12일 1면 보도)가 제기한 경기도 유일 남양주 소재 경기다르크 문제를 봐도 그렇다.

지역주민이 교육환경 악화를 우려 이전을 요구하는 바람에 운영 중단 위기에 놓여서다. 만일 현실이 되면 사실상 중독자를 재활 치료할 곳이 경기지역에선 한곳도 없다. 마약 재활 인프라가 취약한 현재로선 여간 안타까운 일이 아니다. 정부와 경기도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그중에는 사설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일부 마약중독자 회복시설도 포함해야 한다. 아울러 국가적 차원의 거주 및 재활 시설로 변경·확대하는 것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차제에 선진국의 먀약중독자 관리 시스템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 미국은 마약 중독자에게 지역센터에서 1∼3년의 심리 치료를 받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우리도 이런 시스템 구축을 위해선 현재 서울, 부산에만 있는 마약중독재활센터 전국 확대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마약중독 회복시설도 외면 하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