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다문화 가족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인천에서 태어난 신생아 100명 중 6명이 다문화 자녀이다. 다문화 학생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다문화 가족 아이들은 학교생활과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결혼이 늘고 다문화 가족 장기 거주자가 많아지는 만큼 사회 적응 중심에서 정착 위주로의 정책 변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인천시의 '2023년 인천시 다문화가족 정책 시행계획(안)'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천지역 다문화 가구원 수는 7만6765명으로 전국에서 경기, 서울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다문화 자녀 출생 비중도 인천은 6%로 8개 특·광역시 중 1위를 기록했다. 인천의 다문화 부모와 자녀 모두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령기 다문화 자녀 학교 적응도는 2018년 4.4점에서 2021년 4.15점으로 낮아지는 추세이다. 이는 다문화 학생들이 편견, 언어 문제 등의 이유로 교우 관계와 학교 공부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사회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이에 따른 학교현장의 교육 여건도 크게 변모하는 만큼 교육정책의 변화가 요구된다. 기존 단일 혈통주의 교육정책과 지원 방향만으로는 여러 국적과 인종으로 구성되는 다문화 자녀들을 교육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다행스럽게도 인천시는 이번 시행계획안을 통해 올해 총 70개 사업에 예산 198억8300만 원을 투입해 다문화가족 상황별 맞춤형 지원과 학령기 다문화 아동 학습역량 제고, 영유아 자녀 양육 지원에 나선다고 한다.

그런데 다문화 가구 비중이 전국 최상위권인 상황을 비춰볼 때 시의 노력만으로는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시뿐만 아니라 시교육청과 연계한 정책 개발과 사업 추진이 절실하다. 특히 시교육청의 역할이 중요하다. 시교육청은 지역 특성에 따라 다문화 정책학교, 교육지원시설, 전담교원 확보 등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한다. 시와 시교육청 등 행정 당국과 학계,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통합 다문화 지원정책으로 전환돼야 한다.

이미 오래전에 다문화 사회로 접어든 프랑스 등 유럽 선진국에서도 이주민들이 사회 부적응과 차별 등의 이유로 갈등을 빚으며 사회문제가 되는 것이 남의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