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출직인 기초자치단체장의 경우 국회의원과 광역자치단체장보다는 정치적 위상을 낮게 보는 인식이 강하다. 그래서 기초자치단체장을 역임한 이들은 정치적 입지를 높이려고 국회의원이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선 인구 50만 이상의 대도시 특례를 받는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 도전하는 전직 국회의원도 점차 늘어난다. 광역자치단체에서 수행하는 일정 사무를 기초자치단체가 직접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행정적 특례를 보장받고 있어서다.

내년 4월 치르는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현직 인천지역 구청장들이 후보 물망에 오른다.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기도 하다. 일부 구청장이 '자천타천'으로 총선 후보로 거론되는 일은 그만큼 이렇다 할 인물이 부재한 데다 현직이란 이점을 노릴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들 중엔 지난 총선 당시 여야 후보로 나왔지만, 우여곡절 끝에 무산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어떤 구청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활동한 글들을 게시하면서 총선에 무게감을 싣고 있다는 분석이다.

어느 구청장은 2021년 선출된 당협위원장직을 아직도 맡고 있어 총선에 출마하겠다는 사전 행동으로 해석된다. 통상적으로 당협위원장을 맡으면, 총선에 출마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밖에 몇몇 재선에 성공하거나 초선인 기초자치단체장도 총선 출마를 준비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이들 구청장은 소문일 뿐 전혀 아니라고 손사레를 치지만, 무성하게 도는 총선 출마 가능성을 부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역 정가에선 이를 두고 부정적으로 바라본다. 우선 현직 구청장이 사퇴하면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그러면 국민 세금을 낭비하는 꼴이다. 게다가 주민들은 기초자치단체장을 하라고 뽑아줬지, 중도에 그만두고 총선에 출마하라고 선출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개인의 정치적 위상을 높이려고 하는 데 대해 이해 못하는 건 아니지만, 기초자치단체장도 매우 중요한 지역의 일꾼임을 강조한다. 그렇다. 기초자치단체장들은 개인적 욕심을 버리고, 남은 임기를 채워야 마땅하다. 총선을 생각하며 좌고우면하지 말고, '내 지역'을 위해 온힘을 쏟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