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본격화되었다. 용인시·경기도·국토교통부·한국토지주택공사·삼성전자 5개 기관은 27일 제3차 범정부추진지원단 회의를 열고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기관은 반도체 국가산단의 조성 사업 기간을 당초 7년에서 5년으로 줄이고, 입지가 확보되면 2026년 말 착공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단일 단지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인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로스터 조성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기를 기원한다.

범정부 차원에서 나선다면 용인 남사 일대 710만㎡에 이르는 사업부지 관련 입지규제를 완화하고, 신속 예비타당성 절차를 진행하는 데까지는 별 무리가 없어 보인다. 문제는 이 거대한 반도체 클로스터에 공급될 용수와 전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아직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반도체 국가산단에서 필요한 용수는 하루 65만~100만t으로 추산된다.

인근 평택 송탄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우선 공급받는 방안이 있는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둘러싸고 지자체 간의 갈등 소지가 벌써 감지된다.(인천일보 5월7일자) 용인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로스터 조성 사업도 남한강 물을 끌어오는 문제로 여주시와 마찰을 빚으면서 1년6개월이나 공전한 전례도 있다. 송탄 상수원의 대안으로 제시된, 팔당댐 상류 화천댐 용수를 끌어오는 방안은 수로 확보가 관건이고, 하수 재이용은 깨끗한 물을 사용해야 하는 반도체 산업의 특성에 부합하는 수질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국가산단이 들어서면 하루 7기가와트(GW)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7GW는 4인 가족 70만 가구가 하루 사용하는 전력량이다. 전력자급률 58%인 경기도가 감당하기 어려운 양이다. 게다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SK하이닉스 용인캠퍼스의 전기까지 공급해야 한다. 삼성과 SK는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쓰겠다는 RE100을 이미 선언했기 때문에 아무 전기나 끌어오지도 못한다. 용수와 전력 공급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범정부 차원에서 하루빨리 명쾌하게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용인시와 경기도, 삼성전자는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설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