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해관(海關)은 오늘날의 세관을 일컫는다. 조선 말 개항 후 창설된 관세 행정기구다. 개항과 함께 외국과의 근대적 무역관계가 형성되자, 인천·원산·부산 등 세 개항장에 설치했다. 처음엔 외국인을 고용해 수출입 화물에 대한 관세행정 사무를 위임했다. 개항 초기 근대문물의 수입창구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컸다고 한다.

당시 조선엔 관세 행정·해관 운영 등의 경험이 전혀 없었다. 이 때문에 부득이 외국인을 고용해 총세무사(總稅務司)라는 직책을 주고 해관 창설과 운영 전권을 맡겼다. 이러한 사명을 띠고 고용된 인물이 독일인 묄렌도르프였다. 그는 우선 해관 위치 등을 결정하려고 각 개항장의 현지답사를 했다. 그래서 1883년 6월 인천 해관에 이어 원산·부산 해관이 각각 창설되기에 이른다. 1907년 4월엔 해관이란 명칭을 일본식 '세관'으로 개칭했다. 이듬해엔 일본의 관세 행정조직을 그대로 모방·시행해 일본 세관의 일부로 흡수·통합했다고 알려진다.

6월16일은 인천 해관 창립 140주년을 맞는 날이다. 인천은 부산과 원산보다 늦게 개항했으면서도, 처음으로 해관을 설치했다. 그만큼 외국과의 무역이 활발했다는 방증이다. 바다의 길목을 지키던 인천에 해관이란 '빗장'을 세워 나라 살림을 보태는 데 한몫을 했다. 인천 해관은 국내 황해 일대를 관장하며 서울에도 '인천 해관 서울지소'를 설치할 정도였다. 인천은 시나브로 '경제 수도'임을 내세웠다.

인천 해관은 서해 전반을 아우르는 아주 커다란 조직이었다. 전라도·충청도·경기도·황해도·평안도 등을 인천 해관에서 담당했다. 진남포에 해관을 짓고, 서울·목포·군산 등지에 지소를 설치할 때까지 사실상 한반도의 절반 이상을 통제했다. 인천 해관을 통해 전국 첫 팔미도 등대와 기상대가 들어서기도 했다. 바닷길을 안내하고, 기상을 관측하는 일이 매우 중요해서다. 그 무렵 인천은 수출입 무역·물류·상업·공업 등 재정부터 인적·물적·문화 교류까지 왕성하게 이뤄나가, 서울 버금가는 큰 도시로 성장했다.

외세 침탈 목적으로 인천이 개항됐어도, 그때부터 해방까지 줄곧 '1등 도시'를 놓치지 않았다. 인천은 개항 후 조선·대한제국·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명실상부한 전국 1위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여기엔 인천 해관이 큰 몫을 차지했다. 1883년 1월1일 행정상 개항에도 의미를 둘 수 있지만, 실질적인 개항은 인천 해관을 설치한 후로 봐야 한다는 게 세관과 학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지금은 제1의 항만도시란 타이틀을 부산에 내준 상태지만, 근대에서 현대로 가는 관문에 인천 해관이 벌여온 역할과 기능을 잊어선 안 될 터이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인천의 '양키시장'을 아시나요? '양키'(Yankee)는 미국인을 비하하는 호칭이다. 본디 영국인들이 미국 북동부로 이주한 네덜란드계 이민자를 부르던 이름이었다. 남북전쟁 때엔 북부 노예 해방 주에 대한 비칭으로 쓰였고, 그 뒤론 그냥 미국 사람 전반을 일컬었다고 한다. 보통 시끌벅적한 영어를 쓰며, 타국 문화를 잘 알지 못하는 미국인을 가리킨다. 현대 들어 세계 곳곳에서 반미 시위를 할 때마다 나온 “양키 고 홈!”도 같은 맥락이다. 우리나라에선 대개 국가와 상관 없이 백인이면 다 싸잡아 '양키'라고 부르기도 했다.국내 미군 주둔지엔 [썰물밀물] 강화천문과학관에 대한 기대 학창 시절 경주는 단골 수학여행지였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였기에 둘러볼 데가 정말 많았다. 그 중에서 '세계 최고(最古)의 천문대'를 자랑하는 첨성대(瞻星臺)를 구경하곤 놀랐던 기억이 새롭다. 국보 제31호로,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건립했다. 경주를 상징하는 이정표 중 하나로 꼽힌다. 이름대로 별(星)을 보는 용도였다. 하늘의 움직임을 계산해 농사 시기를 정하고, 나라의 길흉을 점쳤다고 전해진다.첨성대는 한반도 고대 건축물 중 유일하게 후대 복원이나 재건 없이 창건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된 문화재다. 남동쪽으로 [썰물밀물] 인하극예술연구회 50년 개항 후 일제 강점기에도 인천에선 연극과 영화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그 역사는 자못 깊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인천지역 연극·영화는 극장과 더불어 관객들을 끌어모으는 데 힘을 쏟았다고 한다. 이렇다 할 문화적 혜택을 받지 못하던 때, 한줄기 희망과 탈출구로서 작용했을 듯싶다.인천에선 이미 1895년 극을 펼치는 협률사(協律舍·경동)가 설립됐다. 국내 첫 극장으로 알려진 애관의 모태이다. 협률사는 단층 창고를 연극장으로 사용했는데, 우리나라 최초 공연장으로 인정을 받는다. 1902년 서울 정동에서 문을 연 협률사(協律社)보다 7년 앞 [썰물밀물] 개항 140년, 다시 깨어나는 인천 “잘 있거라 인천아/이별 후에도 벚꽃은 무사히 피어나렴/머나먼 고향에서 쓸쓸한 밤에는/꿈에도 울리겠지 월미도야/기차는 떠나가고 항구는 희미한데/이제 이별의 눈물로 외치나니/뜨거운 인사를 받아줘요/그대여 고마웠어요 부디 안녕!”인천에 살던 일본인들이 1945년 8월15일 조선 해방으로 떠나기 직전 읊조렸던 노래다. 일본인 상조회가 2차대전 때 불렀던 일본군가 '잘 있거라 라바울'의 곡조에 가사만 바꿨다고 한다. 인천이란 도시를 기획했던 일본인들이 어떠한 심정을 갖고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본보가 기획한 ' [썰물밀물] 죽산의 독립운동 서훈 평가 주목 죽산(竹山) 조봉암(曺奉岩·1899~1959년)은 인천이 낳은 걸출한 정치 지도자다. 강화군 선원면에서 태어났다. 일제 때 사회주의 항일운동을 벌였으며, 광복 후 대한민국 건국에 참여했다. 이승만 정권 아래서 1958년 1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1959년 7월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그 유명한 '사법 살인'의 희생자였다.죽산은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과 국회 부의장을 지냈다. 초대 농림부 장관 시절엔 '유상몰수 유상분배' 원칙의 농지개혁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는 진보당을 창당하고 1956년 3대 대통령선 [썰물밀물] 답동성당의 역사·문화 공간 탈바꿈 답동성당(중구 우현로 50번길)은 개항기에 지어진 건물이다. 인천에서 처음으로 건립한 가톨릭 성당이다. 프랑스 외방선교회 빌렘이 구한말인 1889년 초대 본당 신부로 부임해 답동 언덕에 터를 마련해 1897년 7월 완공됐다. 당시 서울의 관문이자 외국 무역의 거점으로 삼을 수 있는 좋은 입지적 조건을 갖췄다는 사실을 눈여겨 보았다고 한다.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붉은색 외관·정면 3개 종탑·뾰족한 돔 등이 빼어난 건축미를 자랑한다. 국내 성당 중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힌다. 문화재청에서 1981년 9월 국가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