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은 2021년부터 2030년까지를 '해양 과학 10년'으로 선언했다. 그만큼 여러 개발 압력으로 바다가 훼손 위협을 받고 있어서다. 바다를 중심으로 한 해양 경제는 성장하고 있지만, 과잉 개발로 인한 기후 변화·오염·침식 등에선 속수무책으로 나타난다. 바다가 수용 한계에 달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나라마다 해양의 디지털화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이어가고 있다. 해양 도시 인천도 앞으로 어떻게 바다를 온전하게 지킬지 고심을 거듭한다. 해양·항만·산업 도시로서 해양 환경 개선은 지역의 숙원으로 떠오른 지 오래다. 개선 과제 중 해양 쓰레기, 바닷모래 채취, 해상 풍력 발전 등은 무엇보다 하루빨리 해결해야 하는 문제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전국 해양 쓰레기 가운데 인천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인천지역 해양 쓰레기 수거량은 2019년 161t, 2020년 1495t, 2021년 5200t으로 2년 전보다 3129%가 늘어났다. 인천은 지리적으로 육상·해양·외국 등 3대 요인에 모두 노출된 지역으로 꼽힌다. 해양 쓰레기는 바다로 유입돼 결국 미세플라스틱 형태로 다시 우리 식탁에 되돌아온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바닷모래 채취도 해양에 피해를 끼친다. 실례로 인천 앞바다에서 오랫동안 추진하는 해사 채취로 해양보호구역인 대이작도 모래섬 '풀등'이 훼손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해상 풍력 발전도 추진되면서 에너지 사업이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고 어장을 축소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바다로 흘러드는 하천의 쓰레기를 우선적으로 막으려면, 통합·협력적 관리가 시급하다. 각 자치단체에선 하천 쓰레기 수거뿐만 아니라 하천 정비 및 유지·관리, 하수도 정비 등을 통해 예방 사업을 벌여야 한다. 해양 오염의 주범인 미세플라스틱 위해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단순 수거·처리 방식으론 근본적 해결을 어렵게 한다. 시·도 단위로 해양 유입 하천 쓰레기 관리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관리 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외국에서 하듯, 해양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해 해양의 물리적 상태를 설명·분석·예측하는 방법을 도입하는 일도 검토하길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