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유학'이 이농과 고령화 현상으로 활기를 잃어가는 시골 마을을 살리는 대안으로 떠오른다. 시골의 작은 학교들이 유학생을 받아들이는 모습은 이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귀농·귀촌과 지역 살리기·공교육 개혁 운동 등과 맞물려 있는데, 활동가들은 도시보다 나은 교육 환경을 강조하며 탄력적인 농촌유학을 권장한다.

실례로 전북교육청의 경우 다른 지역 초등 1학년∼중학 2학년 사이 학생을 대상으로 농촌유학 프로그램을 열고 있다. 전북 18개 학교에서 올해 유학하는 학생은 84명으로, 지난해 27명보다 세 배 넘게 늘었다고 한다. 가족이 이주해 마을이나 지자체가 제공하는 주택에서 생활하는 가족체류형 유학엔 올해 전북에서만 37가구가 참여했다. 치유숲과 치즈테마파크 등 지역 특색과 연계한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인천시교육청도 작은 학교를 살리는 대안으로 농촌유학에 주목한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가족과 함께 1년간 생태 친화적 환경에서 머물며 농촌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2025년 인천에 도입될 예정이다. 강화지역에서 학생 수가 줄어들며 폐교가 잇따르자 나온 정책이다. 시교육청 자료를 보면, 2018년 이후 최근 5년간 서도초 볼음분교(서도면)를 시작으로 올해 교동초 지석분교(교동면)까지 5개 강화의 초등학교·중학교가 문을 닫았다.

시교육청은 이에 따라 '가족체류형 농촌유학 운영을 위한 기초연구'에 착수했다. 올 하반기까지 6개월간 진행되는 이 연구를 통해 인천지역 특성에 기반을 둔 가족체류형 농촌유학 프로그램 도입 방안을 세운다. 시교육청은 강화지역을 중심으로 학생과 학부모·교직원·마을교육 활동가 등의 의견을 듣고, 전북·전남 운영 사례도 현지 조사할 계획이다.

농촌유학은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시골 학교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현 흐름을 보면,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학생들이 농촌학교에 눈길을 돌린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농어촌 지역인 강화군에서 폐교 현실을 직시하고 농촌유학생을 수용할 대안을 세우는 일은 아주 고무적이다.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도적 측면에서 농촌유학 추진 기반을 마련하는 절차는 필수적이다. 여기에 강화지역 문화·역사·생태 등 특화한 교육 과정도 덧붙이면 금상첨화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