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내년부터 3개 구 · 37개 일반 동 체제로 되돌아간다. 2016년 7월 3개 동을 폐지한지 7년 반 만이고, 2019년 7월 10개 광역동(대동)으로 개편한 지 4년 반 만이다. 부천시는 다음 달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하반기에 3개 구 청사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광역동 개편 이래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다수였기에, 일단 구제와 일반동 환원은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고작 4~7년 만에 행정구역을 환원할 거면서 과거 구 폐지와 광역동제 실시는 왜 했는지 관계자들에게 따져 묻고 싶다.

부천시는 경기도는 물론 전국 시·군 가운데서 가장 먼저 구를 설치했던 도시다. 1988년 1월 중구와 남구를 두었다. 1993년에는 원미구 오정구 소사구 3구를 갖추었고, 1997년에는 중동으로 시청사를 이전했다. 구 설치는 인구가 급팽창함에 따라 행정 수요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6년 책임읍면동제를 도입하기로 하고 구를 모두 폐지하더니, 2019년에는 당시 36개 일반동을 10개 광역동 체제로 전환했다. 명분은 주민들의 편의를 위한다는 것이었다.

자치행정 시스템을 다른 지역과 다르게 지역 특색을 살리도록 실험적으로 개편하려는 시도 자체를 나무랄 수는 없다. 문제는 막상 개편이 이루어지자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압도적으로 커졌다는 점이다. 개편 추진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했나 하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예산이 낭비된 점도 문제다. 없앴던 구 청사를 다시 세우는 비용은 분명 불필요한 지출이다. 행정체계 개편이 고작 자치단체장 1~2차례 임기 만에 뒤집힐 정도로 허술하게 진행되었기에 시민들이 떠안게 된 부담이라 하겠다.

여하튼 다시 구와 일반동 시스템으로 다시 복귀하게 되면, 하나에서 열까지 시민 중심, 시민 위주의 행정을 펼쳐 주기 바란다. 정치적인 고려나 검증되지 않은 이상론에 흔들려 또다시 시행착오를 되풀이하는 일이 더는 없어야 한다. 디지털 환경 등이 바뀌어서 동 행정의 역할도 과거와 크게 달라졌다. 이제는 능동적인 복지행정이 최우선순위에 놓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