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최근 '경기 RE100 비전 선포식'을 갖고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까지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40% 감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김동연 지사 임기 내 공공기관 전력소비량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원전 6기 규모인 9GW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확충한다고 밝혔다.

'오늘의 기후위기를 내일의 성장기회로 삼자'는 슬로건까지 제정한 '경기 RE100 비전'은 미래세대·차기 정부에 기후 위기 극복 부담을 떠넘기지 않겠다는 게 목표다. 후속 대책도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경기도는 에너지복지 실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올해 지붕이나 옥상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는 도내 단독주택(다가구 포함) 3200여 가구에 가구당 59만7천원의 설치비를 지원한다. 또 경기도 산하 28개 공공기관이 소유한 모든 유휴부지, 옥상, 주차장 등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연간 13GWh 이상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기로 했다. 13GWh는 4인 가족 6500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문제는 이러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이 경기도의 한계를 넘어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느냐는 것이다. 기후위기는 경기도에 국한된 과제가 아니라 지구 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영향을 미치는 생존의 문제다. 알려진 것처럼 우리나라는 탄소배출량 세계 10위의 지구온난화 주범 국가이면서 온실가스 배출도 상위 60개국 중 57위로 '매우 저조함' 평가를 받고 있다. 범국가적인 의제로 추진해야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유다.

김 지사는 “정부의 탄소중립과 관련된 역량과 정책은 상당히 우려되는 바가 크다”면서 “미래세대를 위해 중앙정부가 하는 게 부족하다면 경기도가 하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경기도의 역할을 역설했다. 김 지사의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과 노력은 높이 평가받아야 마땅하다. 다만 글로벌 이슈인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실질적인 성과를 얻으려면 지자체 연대나 중앙 정부 및 국제적인 공조를 위한 노력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격언을 되새겨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