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음 달 1일부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하고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를 없애는 대신 5일 격리를 권고하는 등 대부분의 방역 조치를 해제하는 내용을 담은 사실상의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선언을 했다. 대다수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규제는 거의 사라지는 셈이다.

다만 방역 완화 조치로 규제가 풀렸다고 해서 코로나19가 종식된 것은 아니다. 최근에도 평일 기준으로 하루 2만여 명의 감염자가 발생하고 사망자도 지난 한 달간 239명으로 집계됐다. 인천에서도 평일 1000여명, 경기도에서 5000~6000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은 아직 완전한 코로나19 '엔데믹'이 아니라는 것을 수치로 보여준다.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 이유다. 우리는 지난 2021년 말 '위드 코로나'로 방역체계를 전환하고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도하면서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하루 62만명으로 폭증하고, 469명의 사망자가 한꺼번에 나오는 경험을 했다. 이번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의 집단 발병이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남아 있는 데다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한 이유다.

코로나19의 종식을 위해서는 의료 대응 체계를 재점검하고 고위험군과 취약 시설에 대한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변이나 신종 감염병 가능성을 열어두고 차기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에도 면밀히 대비해야 한다. 특히, 격리 의무 해제가 노동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됐어도 일터로 내몰리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과 제도 보완이 중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이번 완화 조치가 일상회복과 함께 국내 경제 활성화를 통한 소비를 되살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그동안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던 국내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관광업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정책도 재정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