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팔미도 등대가 2003년 운영을 중단하기 전 팔미도를 방문할 기회를 가졌다. 인천 앞바다에 고즈넉히 떠 있는 팔미도는 아름다웠다. 사람들의 왕래가 없어서인지, 정말 청정지역 그대로였다. 그 땐 등대불을 켜고 끄는 이들이 유일하게 섬을 지켰다. '등대지기'란 가요를 절로 흥얼거릴 만큼, 노래에 딱 들어맞는 섬으로 기억된다.

알다시피 국내 최초의 팔미도 등대는 1903년 6월 처음으로 불을 밝혔다. 서양의 방식을 따라서 하긴 했지만, 당시로선 획기적이라고 여겨졌다. 인천 개항 후 외국 선박이 물밀듯 들어오는 상황에서, 앞바다에 떠 있는 등대는 한줄기 '빛'으로 작용했으리라. 어두컴컴한 밤에 불을 밝히며 배들의 안전을 지키는 등대. 인천일보가 창간과 함께 등대를 제호 배경으로 삼은 일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근대식 팔미도 등대는 국내 첫 콘크리트 건축물로도 꼽힌다. 팔미도 정상에 높이 7.9m, 지름 2m 규모로 건립됐다. 인천항에서 남서쪽으로 15.7㎞ 떨어진 팔미도가 인천을 오가는 길목에 위치하다 보니, 선도적으로 등대 건설을 추진했다고 한다.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서구 열강은 우리나라에 진출한 선박의 안전 통행을 위해 등대 설치를 요구했고, 조선 정부는 인천항 관세 수입으로 건설비를 충당했다고 알려진다.

인천항을 오가는 선박을 인도하던 팔미도 등대는 한국전쟁 때 중요한 구실을 맡기도 했다.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 때 연합군 함대가 인천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바닷길을 이끌었다. 인천상륙작전 며칠 전 미 극동군 사령부 소속 첩보부대는 팔미도에 잠입해 인민군을 섬멸하고 등대 불빛을 밝혔다. 이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팔미도 등대는 인천상륙작전 70주년 기념일에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됐다.

팔미도 등대가 올해 점등 120주년을 맞았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팔미도 등대의 역사적 가치를 감안해 점등 120주년 기념일인 오는 6월1일 관계 기관과 퇴직 공무원 등을 초청해 기념행사를 연다. 시설 노후화에 따라 점등 100주년을 맞은 2003년 운영을 중단한 팔미도 등대는 이날 기념행사 때 불빛을 다시 밝히기로 했다. 지금은 팔미도 등대 옆에 새로 설치된 현대식 등대가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새 등대는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해 스스로 점·소등을 한다.

등대는 단순히 선박을 위한 시설로만 볼 수 없다. 사회 곳곳에선 등대처럼 살기를 바라고 있다. 이렇듯 등대가 온누리를 밝게 비추는 날을 소망한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향한 '상징적 등대'로서도 굳건하게 자리를 잡았으면 싶다. 팔미도 등대 점등 120주년을 기리며 비는 마음 간절하다.

/이문일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