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단체장 직급, 25년만에 2급 → 3급
조직 규모마저 남동·서구에 못 미쳐
원도심 쇠락·인구 감소 직접적 영향
구 “재개발구역 입주 후 반등 기대감”
▲ 전국 주택 전셋값이 일부 국지전인 전세난을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인천의 경우 0.62% 올랐지만 지난해 1.76%에 비해 크게 낮았다. 사진은 아파트 등이 밀집돼 있는 부평구 전경.  /사진제공=부평구청
▲ 아파트 등이 밀집돼 있는 부평구 전경./인천일보DB

'인천 최대 자치구'였던 부평구가 인구 감소로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25년간 이사관(2급)이 꿰찼던 부단체장 자리를 부이사관(3급)이 이어받으면서 체면을 구겼고, 조직 규모도 남동구·서구에 뒤처지는 형국이 됐다.

부평구는 6일 윤백진 신임 부구청장이 취임했다고 밝혔다. 윤 부구청장은 2021년 지방부이사관으로 승진했고, 인천경제청 영종청라사업본부장을 지냈다.

부평구 부구청장을 부이사관이 맡은 건 1998년이 마지막이었다. 무려 25년 만에 부단체장 직급이 떨어진 셈이다.

부단체장 직급이 하향 조정되기까진 인구 감소가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지방자치법 시행령은 '인구 10만명 이상 50만명 미만 광역시 자치구'의 경우 부구청장을 지방부이사관 직급으로 두도록 했다.

특히 인구 기준에 2년 연속 못 미치면 부구청장 직급을 낮춰야 한다. 주민등록인구통계를 보면 부평구 인구는 2020년 49만4962명으로 줄어든 뒤 50만명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 행정구역이 1995년 10개 군·구 체계로 개편된 이후 부평구는 최대 기초단체 지위를 유지해왔다. 개청 이듬해인 1996년 인천에서 유일하게 인구 50만명대로 진입했고, 2006년 57만284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원도심 쇠락을 피하지 못하면서 지난해 인구가 48만9118명까지 줄었다. 경제자유구역을 등에 업은 서구(58만9013명)와는 격차가 10만명까지 벌어졌고, 행정 중심지이자 신도심이 조성된 남동구(50만6181명)에도 뒤처진 상황이다.

인구에 더해 조직 위상마저 하락세에 접어들자 공직사회도 술렁이고 있다.

부평구 한 공무원은 “한때 인천 최대 자치구였는데 인구 감소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부평구에서 근무했던 다른 공무원도 “수년 전까지만 해도 인구가 55만명대로 인천에서 가장 많아 '부평'이라는 자부심이 있었는데 이런 날이 올 줄은 몰랐다”고 했다.

다만 부단체장 직급 조정이 당장 행정기구 축소로 이어지진 않을 전망이다.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구 설치 기준은 '인구 30만명 이상 50만명 미만'이면 실·국을 5개 이하로 두도록 했는데, 부평구는 이미 5개 국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조직 규모마저 6개 실·국 형태인 남동구·서구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조직 축소는 피했어도 부단체장 직급 하향으로 인한 여진은 이어진다. 지방공무원 보수 규정을 보면 구청장 연봉은 부단체장 직급에 연동되기 때문에 차준택 부평구청장 연봉도 줄어든다.

부평구는 올해부터 재개발구역 입주가 본격화하면 인구가 반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구 관계자는 “2년간 평균 인구 기준을 적용하는 부단체장 직급이 올라가려면 시일이 걸릴 것”이라면서도 “재개발로 인한 인구 유입을 고려해 내년 상반기 행정기구 개편을 검토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