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서 지속 가능 방식 김 생산
'섬·영세 규모' 유통망 확보 난항

지자체 차원 농수산물 직거래
도농 교류 등 대책 마련 목소리

“환경적 가치를 지키며 어렵게 전통 방식으로 김을 재배하고 있는데 늘 판로가 제한적이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지난달 29일 인천 옹진군 북도면 장봉어촌계 계원들은 바쁜 김 채취 일정에도 열악한 판로를 넓히기 위해 옹진수협과 옹진농협을 찾았다.

영세한 규모와 지리적 제한이 있는 섬 지역 특성상 고정적 유통망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직접 판로 개척에 나선 것이다.

정연희 장봉어촌계장은 1일 인천일보에 “우리는 개인별로 김을 판매하는 편인데 다른 지역에서는 대규모로 김을 생산하니 규모가 적은 어촌계는 더 어려운 상황”이라며 “습지보호지역인 갯벌에서 버팀목을 이용한 옛 방식(지주식)으로 김을 생산하며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해 힘쓰고 있지만 점점 힘에 부친다”고 토로했다.

여기에 지난해 김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측돼 어민들 고충은 더 커져가고 있다.

장봉어촌계에 따르면 같은 해 11월부터 올 초까지 김 생산량은 약 21만속(2100만장·1속은 김 100장)으로 예측되며 이는 평년 대비 30% 감소한 수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자체 차원에서 농수산물 직거래 강화와 도농 교류 확대 등 판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대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농산물 이용촉진 등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에 관한 법률은 지자체장이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공공기관, 민간단체, 기업 등과 농산물 구매 협약을 맺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군은 인천시의회와 의회 홍보 물품 구매 시 지역 특산물 우선 구매 내용으로 상생 협약을 맺었으며 앞으로 협약 대상 기관을 늘려갈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장봉도 김 생산을 돕기 위해 기반시설 및 포장재 지원을 적극 실시하고 있다”라며 “도농 교류나 기관 협약 확대 등을 통해 어촌계 판로 확보에 도움을 주겠다”고 밝혔다.

/박해윤 기자 yu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