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대변 등 역할론 놓고 갈등
경과원·도자재단, 협의회서 빠져
“정서적으로 안 맞는 부분 있어”
“더는 활동 원하지 않을 뿐” 이견
경기도청.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노동이사들이 모인 공공기관노동이사협의회에서 최근 노동조합위원장 출신의 노동이사 2명이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노동이사들간에 출신을 따지면서 불협화음이 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지난 2018년 도는 산하 기관들에 노동자 대표가 기관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경영에 참여토록 하는 노동이사제를 도입했다.

도는 당시 100명 이상의 기관의 경우 의무적으로 노동이사를 두도록 하고 100명 미만의 기관엔 기관 자율적으로 노동이사를 둘 수 있도록 했다.

노동이사제를 먼저 도입한 관광공사·도시공사·신용보증재단·일자리재단·문화의전당·문화재단·평생교육진흥원·한국도자재단 등 8개 기관 노동이사는 2019년 11월 공공기관노동이사협의회를 출범했다.

이후엔 노동이사를 운용 중인 평택항만공사 등 전체 18개 기관의 노동이사가 경노이협에 참여했다.

이들은 한 달에 한 번 이상 총회를 열어 노동이사제 제도 개선, 기관별 쟁점 사항 공유 등과 관련해 논의해왔다.

그러나 올해 노조위원장 출신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한국도자재단 노동이사가 경노이협에서 빠진 것으로 파악됐다. 경노이협 내부적으로 노동이사가 노동자를 대변해야 하는 등 역할론을 놓고 갈등을 겪은 게 주된 원인으로 알려졌다.

현재 18개 기관의 노동이사 중 경과원과 한국도자재단 노동이사 2명을 제외하면 전부 노조 집행부가 아닌 일반 직원 출신이었다.

A노동이사는 “경노이협에서 출신별로 노동이사간 정서적으로 안 맞는 부분이 분명 있다”며 “노조 출신 노동이사의 경우 좀 더 노동자 측의 의견을 내는 편인데 일반 노동이사의 경우 그런 게 전혀 없다. 노동이사제의 미흡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경노이협 관계자는 “노조 위원장 출신이라고 경노이협에서 제외하는 건 아니다. 경노이협엔 기관 내 노조 등 투표를 거쳐 선출된 노동이사도 있다”며 “경과원과 한국도자재단 노동이사가 총회에 나오지 않고 더는 활동을 원하지 않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최인규 기자 choiinkou@incheonilbo.com



관련기사
[뉴스인사이드] 노동이사, 사용자 vs 노동자 경기도공공기관 노동이사의 역할론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와중에 경기도가 노동이사를 '사용자 측'이라고 규정해 논란이다.상황이 불거지자 도내 공공기관 노조위원장이 모인 경기도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맹이 정부에 관련 조례의 유권해석을 의뢰하기로 하면서 노정 갈등으로 확산되고 있다.<인천일보 12월8일자 6면 '노조 출신? 일반 직원?…노동이사 불협화음 논란'>11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지난달 경공노총 측은 국민신문고를 통해 노동이사가 노동자를 대변하도록 '경기도 공공기관 노동이사 운영에 관한 조례' 노동이사는 '노냐·사냐'…권익위 판단만 남았다 노동이사는 사용자 편일까, 노동자 편일까. 논란이 된 노동이사의 역할론은 국민권익위원회의 판단을 기다리게 됐다.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노조위원장이 모인 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맹이 관련 조례 유권 해석을 의뢰했기 때문이다. <인천일보 2022년 12월8·12일자 1·6면 보도>17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경공노총이 지난해 노동이사가 노동자를 대변한다는 취지로 '공공기관 노동이사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을 도에 건의했지만, 도 실무부서는 이를 거부했다. 노동이사는 사용자 이익을 대표하는 만큼 사용자 측이라고 규정했기 때문이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