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일보에서 일요판으로 주간지를 발행한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고 반세기전에 창간되었던 주간인천(1954년 4월12일∼1960년 8월-창간 당시 사장 임영균, 주간 권성오, 편집국장 김응태, 문화부 김양수, 정치부 김상봉)시절을 생각해 보았다.
 이때 우리들은 인천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다 담아 살아움직이는 지면을 만들려 했으며 밝은 소식을 많이 실어 독자들이 희망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갖도록 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민족상잔의 6·25전쟁뒤 끝이라 휴전중이었지만 민심안정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했다.
 주간 인천편집실은 인천의 문화사랑방이었으며 각 분야의 여러분들이 자주 모이셨다. 인천에 살면 인천사람이라는 주제로 많은 얘기들이 오갔다. 내가 사는 내고장을 아끼고 가꾸어 살맛나는 좋은 고장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여러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그때는 정말 인천을 사랑하고 나라를 걱정하며 안정과 평화를 간절하게 바라는 얘기들이 많이 교환되었다.
 이 사랑방 얘기광장에서는 고일(高逸)선생께서 주빈역할을 자주 맡아 하셨다. 선생께서는 주간 인천 창간호부터 인천석금(仁川昔今)을 연재하셨는데 이 읽을 거리는 회수가 거듭될수록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인천의 모든 사건들이 새롭게 재조명되고 정리되어가는 듯했으며 신문이 나오는 날이면 다방은 온통 주간인천과 인천석금 얘기로 떠들썩했다.
 지면자(池面者-고일선생의 필명)의 인천석금을 시중화제의 중심이었을 뿐아니라 해방후 인천향토사의 시작이었으며 향토사 연구에 큰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놓았다. 인천석금은 용롱요정에서도 여느 대포집에서도 큰 화제가 되어 좌중이 옛날 인천얘기로 시간가는 줄 모르고 얘기 꽃을 피우다가 통금싸이렌 소리에 놀라 자리를 파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곤 했었다. 이때 일부 심통꾼들은 주간인천이 너무 흙냄새를 풍긴다고 하면서 시기하기도 했다.
 나는 못난이라고 하시며 지면자(池 못지 面 낯면 者 놈자)라는 필명을 쓰신 고일선생의 일화와 반세기전의 그 시절 일들을 돌이켜보면서 오늘의 현실을 바라보니 온통 세상이 이기적으로 변했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언론은 그때나 지금이나 여론의 회로(回路)로서의 역할을 다하면서 변함없이 문화적 가치를 높여가고 있어 흐뭇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