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전초전이라는 각 정당의 판단하에 그 뜨거웠던 월드컵 분위기속에서도 이목을 끌었던 제3회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지난 6월 막을 내렸다. 물론, 각자의 주관적 관점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현상이 더욱 심화되었던 것 같아 선거관리에 참여한 실무자로서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이번 선거는“민주주의의 학교로서의 지방자치”라는 순수한 의미를 퇴색시켰다. 지방정치 차원의 정책대결은 사라지고, 시종일관 중앙의 정치대결이 이뤄졌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 정부 집권 4년과 12월 대선정국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치적 논리에 의해 중앙당의 대리전화하는 양상이 짙었고, 지역발전을 위해 일 할 수 있는 참다운 일꾼을 뽑기 위한 지원보다는 당리당략적 차원의 세과시를 위한 필요이상의 인적 물량공세에 치우친 경향이 두드러졌다.
 선거기간 동안 내내 각 정당마다 오직 승리만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다 보니 중앙정치의 공백상태를 초래하여 국민의 곱지않은 시선을 받았고 해당 지역선거구의 특성과 설정에 맞는 정책의 개발에 초점을 둔 공약보다는 자당 또는 자당공천 후보자의 자화자찬, 타당 또는 타당 공천후보자의 비판·비방과 실책의 부각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 결과 지역 주민의 호응을 얻는데 실패하여 유권자들의 정치권에 대한 무관심과 냉소주의를 초래하여 국민의 참정권 포기 현상의 결과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 되었다.
 물론 중앙정치와 전혀 무관한 지방정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 하더라도 지방적 의제를 놓고 대결한 것이 아니라 이번 지방선거를 12월에 치러질 대통령 선거의 전초전으로 몰고 간 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지방의제와 민생은 제쳐놓고 오로지 대통령 후보들의 사전선거 운동으로 일관한 무한경쟁은 정치불신을 한층 더 고조시켰다.
 선거는 끝났다. 이번 선거에 의해 4년 동안 우리의 지방행정과 삶의 질을 결정짓게 될 것이다. 각 정당은 더이상 당선 숫자나 득표율로 나타나는 승패에 연연해서는 안 된다. 우리 모두가 다음 선거에서 더 큰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다짐하고 실천하는 것이 더 긴요할 때이다.
 이제 대통령선거가 체 100일도 남지않은 현시점에서 한바탕 태풍이 지나간 것 같은 상처 투성이의 지방선거를 돌아보며 “깨끗한 선거와 이를 통한 국가의 발전은 국민 모두가 선거를 막연히 정치인들의 권력잔치로 치부하지 말고, 유권자 모두가 소중한 한표를 성실히 행사하고, 국민 각자가 공명선거의 파수꾼이 되어야 비로소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우리 국민의 수준높은 유권자 의식에 기대를 걸어 본다.